'주담대 갈아타기' 입점 보험사 달랑 2곳···'들러리 될까' 우려
by유은실 기자
2024.01.11 06:00:00
주담대 비교 플랫폼 입점한 교보·한화생명···삼성은 자체 앱만
차주 갈아타는 옵션 제공사 ''미미''···손보사, 조회·환승만 가능
"보험사 주담대 비중 고작 7%···주력 상품 아니라 실속 없다"
[이데일리 유은실 기자]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갈아타기 서비스가 9일 본격 출시된 가운데 보험사의 플랫폼 입점률이 저조하다. 신규대출 상품을 핀테크 플랫폼에 제공해 고객 유입 파이프라인을 구축한 보험사는 단 두 곳뿐이다. 애초 금리 경쟁력에서 열세인 보험사들이 자칫 은행·빅테크의 들러리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주담대 대환대출 플랫폼 가동 첫날인 9일 대출비교 플랫폼에 입점한 보험사는 교보생명·한화생명으로 나타났다. 카카오페이는 2곳 모두 제휴했고 네이버페이는 교보생명과 제휴를 맺었다. 즉 타 금융사 상품에 가입했던 차주가 대출 비교 플랫폼을 통해 금리를 비교해서 갈아탈 수 있는 보험사 주담대는 단 2개뿐이라는 것이다. 삼성생명은 현재 자체 앱과 삼성금융네트웍스의 ‘모니모’를 통해서만 신규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플랫폼 입점 계획을 세웠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주담대 대환대출 인프라 참여 보험사 10곳(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NH농협생명·흥국생명·푸본현대생명·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NH농협손해보험) 중 이렇게 신규대출 상품 가입을 열어둔 곳은 3곳(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이다.
보험사가 대환대출 플랫폼에 소극적으로 임하는 배경엔 ‘상품 포트폴리오’와 ‘부동산 시장 냉각’ 등이 있다. 먼저 은행과 달리 보험사의 주력 상품은 주담대가 아니다. 보험사는 대출보다는 계약기간이 긴 보험상품을 주로 취급하고 대출 중에서는 계약대출 취급이 더 많다. 실제 주담대 갈아타기 인프라에 들어온 금융사의 주담대 잔액 비중은 은행권이 92.6%(659조 5000억원)이며 보험사는 6.9%(49조 6000억원)에 불과하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주담대가 보험사의 주력이 아닌 만큼, 참여에도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며 “앞으로 (주담대가) 얼마나 빠져나갈지 추이를 보고 결정할 것이다”고 말했다.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보험사가 고객을 유인할 수 있는 강점은 ‘한도’다. 보험사 주담대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50%로 은행권보다 10%포인트(p) 높아 대출 한도가 더 많다. 그럼에도 냉랭한 부동산 시장 상황에 고금리 장기화까지 겹치자 차주들은 한도보다는 금리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 금리 경쟁력이 낮은 보험사가 애초에 불리하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