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진철 기자
2008.11.03 08:42:52
건설업체 부도 우려감 높아져
대형사 위주 접근 바람직
[이데일리 이진철기자] 중견 건설사의 유동성 위기가 시장에 노출되면서 건설업체 부도 우려감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도 건설사 부실화 대응방안을 발표함에 따라 건설업체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건설업체 부도 현황은 작년 9월 누적 전체 212개에서 올 9월 현재 290개로 약 37% 가량 증가했으며, 전문건설업체 부도율이 44% 증가해 하도급 업체의 부도 발생 빈도가 증가한 분석되고 있다.
건설업체의 위기감이 높아지면서 정부는 지난 21일 건설사의 부실에 따른 파급을 막기 위해 분양 계약자 보호, 협력업체 도산방지, 해외 발주 사업장 공사 지속 방안에 대한 내용을 골자로 대책을 마련했다.
분양자와 협력업체에 대한 피해를 막아 일반 서민경제로의 전염을 차단하고, 건설사의 일시적 유동성 문제에 따른 협력업체 도산을 막아 부실의 고리를 차단하려는 내용이 포함됐다.
그러나 정부는 건설부문 유동성 지원 및 구조조정 방안에서 건설업체에 대한 유동성 지원은 무차별적이 아닌 선별적 즉, 옥석가리기 작업에 기초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에 따라 채권금융기관 주도로 우선적으로 신용평가기관의 신용등급이 기준이 되어 건설업체를 A~D등급으로 구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A 및 B등급 업체는 이자감면, 만기연장, 신규자금 지원 등의 조치가 신속하게 진행되고, C등급 업체는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D등급 업체는 청산 등의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이창근 현대증권 애널리스트는 "정부의 건설사 부실화 대응방안은 부동산 경기침체와 금융시장 불안에 대비하는 동시에 건설업체 구조조정의 신호탄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애널리스트는 "정부는 일시적 또는 구조적인 유동성 문제 건설업체에 대한 선별적인 지원을 재강조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다만, 건설업을 둘러싼 불안심리를 지나치게 확대 해석함으로써 자체적인 시장 위기감을 조성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정부의 대책이 연이어 발표되고 있지만 근본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잠재적 불안 요인은 여전하다. 해외건설부문 수주호조는 국내 건설경기를 보완하고 있지만 미분양 문제에 따른 운전자금 소요 및 원리금 상환 부담도 여전한 상황이다.
박현수 LIG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건설업체별로 유동성 확보 가능성과 정부의 지원 대책의 수혜 여부도 상이하다"면서 "이는 정부의 대책에도 불구하고, 건설사에 대한 유보적인 시각을 갖게 한다"고 말했다.
박 애널리스트는 "건설업체의 주요 관찰 항목으로는 영업활동 현금 흐름, 보유 현금 및 우발 채무 규모 등과 해외 수주 모멘텀 여부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현금 흐름상의 강점을 통해 영업 활동의 건전성을 판단할 수 있다"면서 "보유 현금에 따라 유동성 문제에 대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관심도가 높은 우발채무 규모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