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용지 확보 '땅 따먹기' 전쟁 후끈

by정수영 기자
2014.11.13 07:18:14

LH, 10월 말 이미 올해 목표율 102% 넘어서
공동·단독주택 용지 경쟁률 수십 대 1은 기본
광교·동탄 주상복합 용지 수천억 비싼값에 낙찰
입찰 경쟁 택지비 증가로 고분양가·공급 과잉 우려

△신규 분양시장에 훈풍이 불면서 건설사들의 아파트 용지 확보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이데일리 정수영 기자] 단독주택 최고 경쟁률 2746대 1(위례신도시), 아파트용지 경쟁률 406 대 1(시흥 목감지구), 주상복합용지 공급가 대비 낙찰가율 130%(광교신도시)….

올해 분야별 공공택지 판매에서 나온 최고의 기록들이다. 저금리 시대를 맞아 주택 수요는 분양 물량으로, 투자 수요는 수익형 부동산으로 몰리면서 법인뿐 아니라 개인들도 건물 지을 땅을 확보하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특히 뜨거운 분양시장 열기는 건설사끼리의 공동주택 용지 확보 과열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공동주택 용지 추첨분양에서 경쟁률이 몇십대 1에 이르는 것은 기본이고, 입찰 방식으로 진행하는 주상복합 용지 매각에선 감정평가액(공급 예정가)에 1900억원을 얹은 낙찰가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과열 경쟁은 공급 과잉과 분양가 상승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시장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기도시공사가 이달 초 입찰 분양한 광교신도시 C2블록 주상복합아파트 용지는 공급 예정가보다 무려 1900억원 높은 7500억원에 낙찰됐다. 낙찰가율이 무려 130%에 달했다. 이를 포함해 경기도시공사가 광교신도시에서 올해 공급한 4개 주상복합 용지는 모두 높은 낙찰가를 기록하며 팔렸다. LH가 공급한 화성 동탄2신도시와 양산 물금지구 주상복합 용지도 공급가보다 몇 십억원씩 비싼 가격에 낙찰됐다.

이는 입찰 방식으로 공급하는 주상복합아파트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추첨 방식으로 분양하는 공동주택 용지에도 건설사들이 대거 몰리면서 경쟁률이 수십대 1을 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지난 9월 공급된 시흥 목감 A7블록 공동주택 용지는 406대 1, 시흥 배곧신도시 B10 블록은 329대 1의 경쟁률을 각각 기록했다. 지난달에 선보인 시흥 목감 B-1블록도 255대 1, B-2블록은 284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같은 시기 나온 부천 옥길지구 C1블록도 208대 1, 화성 동탄2 A-103블록 역시 111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LH가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판매한 토지와 주택은 금액 기준 18조2000억원으로 연간 목표인 17조8000억원을 넘어섰다. 목표 대비 102%의 실적을 달성한 것이다. LH는 이달과 다음달에도 알짜 물량이 급증하는 만큼 지난해 판매 실적(22조원)을 훨씬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H 관계자는 “택지개발촉진법을 폐지하겠다는 정부의 9·1 부동산 대책 발표와 함께 초저금리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주택 용지를 선점해두려는 기업과 투자자들의 관심이 부쩍 높아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분양가 상승과 과잉 공급 우려다. 시장 분위기가 살아나면서 감정평가액이 높아지고 있다. 입찰 공고가 곧 나올 예정인 광명역세권 주상복합 3블록 용지는 지난해 공급된 필지들보다 감정가가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입찰 경쟁이 치열할 경우 낙찰가율은 꽤 높아져 택지비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광교신도시의 경우 올해 초 판매한 D3블록에 비해 이달 초 공급된 C2블록의 감정가가 3.3㎡당 600만원 정도 비싸게 책정됐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사실 그동안 분양가를 저렴했던 단지들은 택지비가 싼 곳이 대부분이었다”며 “택지비가 비싸지면 신규 분양 단지를 지금처럼 저렴하게 내놓긴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공급 과잉 현상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9월 주택 인허가를 받은 물량은 35만1328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4.4% 늘었다. 이는 최소 6개월에서 길게는 2년 후 분양 예정인 물량들인 만큼 내년부터는 공급 과잉 현상이 빚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허윤경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장기적인 측면에서 시장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지표가 거의 없는 실정”이라며 “이 상황에서 1~2년 후 토지 비용 부담액이 큰 공급 물량들이 한꺼번에 쏟아진다면 소비자 외면과 함께 미분양 물량 증가 등의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