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러브콜에 금값 된 김.. 양식장 개발해 '김값' 잡는다[파도타기]
by권효중 기자
2024.05.04 08:00:00
최근 마른김 1장 가격 130원 넘어서…수입 수요 커진 탓
해수부, '김 수급 안정화 대책'으로 양식장 개발 시사
국립수산과학원, 일본보다 빠른 속도로 김 품종 개발중
기후변화 강한 신품종 개발, 지역별 맞춤 품종도 선정
[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지난해 수산식품 중에서는 최초로 1조원대 수출 기록을 썼던 김, 최근 김 가격은 이러한 수출 열풍으로 인해 국내 가격이 오르고 있다. 마른김 1장 기준으로 평년 100원도 되지 않았던 것이 최근 130원대까지 오르기도 했다. 다만 해수부는 이와 같은 김 가격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양식장 확대는 물론, 고수온 등 기후변화에 강한 품종을 새롭게 개발할 계획이다.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 마른김(중품, 10장) 가격은 1304원으로 1300원대에 진입했다. 이후 30일에는 1333원까지 올랐다가 지난 2일 기준 1270원으로 1300원대를 밑돌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마른김 가격은 1017원이고, 평년 기준으로는 923원으로 1000원도 되지 않았던 만큼 최근 김 가격은 김밥 등 외식 물가 오름세와 엮이며 연일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25일 김 양식장 2700㏊(헥타르) 신규 개발을 포함, 각종 ‘김 수급 안정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오는 7월까지 신규 양식장을 개발해 10월 생산을 목표로 하는 것은 물론 농작물처럼 ‘계약 재배’ 방식을 도입해 장기적으로 수급과 가격을 조절하는 방법도 검토하고 있다.
특히 김에 대한 수출 수요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고수온 등 기후변화는 구조적인 위기다. 일본과 중국 등 다른 김 생산 국가들을 큰 차이로 따돌려 1위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이지만, 장기적인 생산 및 수급 안정화를 위해서는 김 역시 전복이나 넙치(광어) 등 다른 양식품종들과 마찬가지로 기후변화에 저항성을 지닌 종 개발이 시급한 과제다.
해수부 산하 국립수산과학원(수과원)은 2008년부터 국산 김 품종 개발을 이어왔다. 김밥용 김 등에 자주 쓰이며 한국 김 양식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속성장 방사무늬김’은 물론, 곱창김으로 유명한 ‘잇바디돌김’은 모두 수과원의 연구 결과다. 현재까지 수과원은 총 19개의 품종을 개발했는데, 이는 약 60여년에 걸쳐 17품종을 개발했던 일본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다. 김 종자 자급율 역시 2012년 이전 20% 수준이었던 것이 현재는 95% 수준까지 올라왔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에 따라 새로운 김 품종 개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김은 미역, 다시마 등과 함께 한류성 해초에 속해 고수온에 약한 편이다. 이에 수과원은 환경변화에 잘 적응하고, 고수온에서도 잘 자라는 김 품종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실험실 내 배양이 이뤄지고 있는 단계로, 개발중인 품종은 자연에서 현장검증을 거친 후 양식어가에 보급될 예정이다.
또한 지역별 환경에 ‘맞춤형’ 품종 선발을 위한 시험양식도 이루지고 있다. 부산과 인천, 충남 등 지자체들은 수과원이 개발한 여러 김 품종 중 지역 환경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시험양식을 진행중이다. 2020년부터 일본 시장 맞춤형 김을 개발해온 부산의 경우 조만간 지역 브랜드로서 해당 김을 시장에 내놓을 예정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