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인경 기자
2024.02.12 09:43:42
지난주 코스피 0.19% 오른 2620.32에 마감
외국인, 삼성전자 팔면서 삼성전자우는 '사자'
저PBR, 잦아들었어도 총선 전까지 이어질 듯
13일 발표되는 美 1월 CPI…FOMC 영향 주의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설 연휴를 마치고 돌아온 코스피는 여전히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으로 저평가주들이 주도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다만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라 3월 금리 인하 전망이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5~8일) 코스피 지수는 한 주간 5.01포인트(0.19%) 오른 2620.32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1조4627억원, 262억원을 팔았지만, 외국인이 1조4677억원을 사들였다. 코스닥 시장은 같은 기간 11.81포인트(1.45%) 오르며 826.58에 거래를 마쳤다.
특히 외국인은 현대차(005380)를 5278억원, SK하이닉스(000660)를 3826억원씩 사들였다. 또 눈길을 끈 것은 삼성전자우(005935)는 1643억원 사들이면서도 삼성전자(005930)는 1조4112억원을 팔아치운 것이다. 시장을 주도하는 외국인부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으로 우선주를 담고 있다고 해석이 나오고 있다.
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이제까지 주주로서 권한 행사가 제한된 우선주에 대한 할인은 당연하게 받아들여졌지만 최근 그 할인율이 10% 내외로 축소됐다”면서 “지배권보다 배당권이 확대되는 경향이 반영되면 우선주의 할인율 축소는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시장에서는 이번 주 역시 저(低) 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보고 있다. 일단 4월 총선을 앞둔 상황인 만큼, 정책 모멘텀이 유효하다는 평가다. 김정윤 대신증권 연구원은 “저PBR 종목 중 자동차의 경우, 최근 단기 차익실현 매물 출회되고 있으나 외국인 투자자들은 여전히 금융업 순매수세를 이어나가고 있다”며 “아직은 저PBR 테마가 유효하다”라고 평가했다. 조창민 유안타증권 연구원 역시 “저PBR주의 상승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며 “관련 종목 가운데 우량주를 선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실적 발표 역시 변수다. 삼성전자와 현대차 등이 실적을 발표했지만 여전히 대형주들의 4분기 실적발표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7일까지 시장 전망치가 있는 상장사 중 178곳이 실적을 발표했는데, 이 중 104곳(58.4%)이 어닝쇼크(시장 기대치를 10% 이상 하회)를 기록한 상태다. 이번 주에는 CJ제일제당(097950)(13일), 네오위즈(095660)(14일), 케이카(381970)(14일) 펄어비스(263750)(15일) 파라다이스(034230)(15일) 한국금융지주(071050)(15일) 롯데손해보험(000400)(16일) 등이 4분기 실적을 내놓는다.
또 이번 주 기업공개(IPO) 종목들의 청약이 이어지며 투심을 자극할 예정이다. 케이웨더와 이에이트, 코셈은 14일 청약에 돌입한다. 이미 케이웨더는 희망밴드 상단을 초과한 7000원에 공모가를 확정했으며 22일 코스닥 상장을 예정하고 있다. 코셈도 희망밴드 상단을 초과한 1만6000원에 공모가를 확정했다. 아울러 올해 IPO 시장 대어로 손꼽히며 관심을 끌고 있는 에이피알은 15일 청약에 돌입한다.
이번 주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눈여겨봐야 할 지표는 13일 발표되는 미국의 1월 CPI다. 지난해 12월 전년대비 소비자물가지수는 3.4% 상승으로 전달(11월) 3.1%나 시장 전망치 3.2%를 모두 상회했다. 증권가에서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가 5000포인트를 넘어선 상황에서 CPI 결과에 따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정책도 달라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현재 시장은 1월 CPI가 전년 동기보다 2.9% 상승했을 것으로 보고 있는데,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면 조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다시 확대할 수 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1월 CPI가 시장 기대치(2.9%) 이하의 수치를 확보하면 연준의 정책 경로 불확실성, 금리 부담 문제 등을 한층 더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위험선호 심리가 확산할지 여부는 13일 발표되는 미국의 1월 CPI에 달려 있다”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