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순용 기자
2021.04.03 08:55:37
유디치과, 내원 환자 1,284명 대상으로 구강위생용품 중 칫솔관리실태 설문조사 진행
10명 중 7명 칫솔 소독 한 적 없으며, 응답자 절반이 공용보관함 및 세면대에 칫솔 보관하고 있어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치아 건강을 지키는 가장 기본은 올바른 양치질 습관이다. 많은 사람들이 올바른 양치질의 중요성은 잘 인지하고 있으나 구강 위생에 큰 역할을 하는 칫솔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경우가 많다. 점심을 먹고 양치를 한 직장인이나 학생들은 보통 칫솔을 서랍 속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칫솔은 입 속으로 들어가는 도구이기 때문에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위생도구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또한 관리가 잘못된 칫솔을 사용할 경우 잇몸병 발생의 원인이 되는 만큼, 칫솔 선택과 보관 방법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올바른 칫솔질 만큼이나 중요한 칫솔 선택과 관리
유디치과는 성인 1,284명을 대상으로 구강위생용품 관리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칫솔질을 하루에 2,3회 이상 하는 사람이 83.5%, 음식 섭취 후 항상 하는 사람이 12.5%로 많은 사람들이 양치질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양치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올바른 칫솔질 55.3%, 양치질 횟수 14.9%, 양치질 시간 12.7%, 칫솔 11.5% 등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칫솔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가 미흡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백영걸 용인동백 유디치과의원 원장은 “올바른 칫솔질 만큼이나 자신의 치아상태에 맞는 칫솔과 치약 등의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고 올바른 방법으로 관리해야 치아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한다.
칫솔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칫솔의 모양과 칫솔모의 형태 63.9%로 가장 많았으며, 가격과 브랜드가 13.8%, 치과의사의 추천 7.1% 등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어떤 칫솔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 칫솔 머리는 자신의 치아를 2~3개 덮을 정도의 크기면 충분하다. 칫솔모는 3~4열, 강도는 중간이면 무난하다. 칫솔을 6개월 이상 사용했는데도 변형이 없다면, 조금 더 부드러운 칫솔모를 선택한다. 반대로 몇 번 닦지도 않았는데 칫솔모가 구부러진다면 조금 더 강한 칫솔모를 택하는 것이 좋다. 만약 이를 닦는 힘이 너무 세서 치아에 마모가 생기거나 잇몸에 상처가 생긴 경우, 부드러운 칫솔모를 사용한다.
◇10명 중 7명 칫솔 소독 경험 無, 응답자 절반 세균 감염 용이 한 곳에 칫솔 보관
칫솔 소독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 10명 중 7명이 소독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또한 응답자의 약 50%가 세균이 감염되기 쉬운 공용 보관함이나 세면대 위에 칫솔을 보관한다고 응답했다. 양치질 후에는 칫솔을 깨끗이 헹궈야 한다. 흐르는 물로 꼼꼼하게 닦아야 칫솔모 안에 치약이나 음식물 찌꺼기가 끼지 않는다. 잔여물이 남아있으면 세균이 번식하기 쉽다. 주기적으로 칫솔을 소독하는 것 또한 위생적 관리에 도움이 된다. 1주일에 한 번 정도 베이킹소다를 녹인 따뜻한 물에 10분 정도 담가두면 소독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칫솔을 보관할 때 집에서는 화장실, 회사에서는 서랍 안에 놓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화장실, 서랍 안은 습하고 통풍이 잘 안돼 세균이 쉽게 번식한다. 칫솔은 햇볕이 잘 들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두는 것이 좋다. 햇볕이 잘 드는 곳에 두기 어렵다면 칫솔에 있는 물기를 잘 말려 건조한 뒤, 전용 케이스에 넣어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