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마르지 않은 6000명 청계천 상인의 눈물

by김기덕 기자
2017.03.17 06:00:00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애초에 충분한 사전 수요 조사가 없었으니 장사가 안되는 건 불 보듯 뻔했죠. 지금 당장 문을 닫아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지난 2010년 서울 종로구 청계천 복원사업으로 삶의 터전을 잃고 송파구 가든파이브로 이주한 상인들의 한숨이 절망으로 바뀌고 있다. 개점한 지 7년여가 지났지만 손님들의 발길이 뚝 끊겨 이미 가든파이브 전체 점포 3곳 중 1곳은 문을 닫은 상태다. 올 들어서는 임대료와 관리비를 내지 못한 상인이 생활고를 비관해 자살을 시도한 사건도 발생했다.

서울시 산하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가든파이브 조성(연면적 82만㎡)에 천문학적 금액인 1조 3168억원을 쏟아 부었지만 대규모 미분양 사태로 사업비 중 30%에 달하는 4044억원은 여전히 회수하지 못한 상황이다.



입주 계약 당시 서울시는 당초 약속했던 분양가(23㎡당 약 7000만원)보다 두 배나 높은 가격으로 상가를 공급했다. 이 결과 입주 희망 상인 6097명 중 절반 수준인 3104명만이 분양계약을 완료했다. 물론 상권 활성화를 위한 서울시와 SH공사의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공구상가와 쇼핑가가 있는 라이프 동에 현대백화점 아웃렛이 입점하고, 아파트형 공장인 웍스 동에는 국내 최대 볼링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SH공사 관계자는 “최근 상인 대표와 외부 전문가 등과 함께 상가 활성화를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렸다”며 “일부 동의 여러 점포를 묶어 일괄 매각하기로 방향을 정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수요자의 구미를 당길만한 매각 계약 조건이 없고, 기존 공구상가와의 시너지를 내기에도 역부족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실제 지난해 SH공사가 가든파이브 일부 동에 한해 600가구 일괄 매각 입찰을 진행했지만 응찰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

청계천 복원 공사로 주변 환경 개선과 시민들의 삶의 질이 높아진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당시 건설사업에 참여한 일부 건설사들도 몇천억원대의 막대한 이익을 챙겼다. 이 과정에서 청계천 상인들만 철저하게 손해를 입었다. 청계천 상인들에 대한 서울시의 실질적인 보상과 개선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