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본질 회복’ 내부 혁신 드라이브 걸다[2023 경기교육 키워드上]

by황영민 기자
2023.12.07 06:00:00

교육활동 집중하도록 학교업무개선담당관 신설
공문서 불편신고제 등 지속적 피드백으로 정책개선
인사제대 대수술, 교육청 본청-학교 순환근무 강화
사립학교 미래교육 파트너로 동반성장 지원

[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2023년은 경기도교육청이 ‘자율·균형·미래’라는 민선 5기 3대 원칙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정책을 추진한 해이다. 학교 현장과 교육청 안에서 관행적으로 시행돼 오던 인사제도와 업무방식 등을 뜯어고치고, 경기도내 31개 지자체와 교육 협력 강화, AI 기반 학습프로그램 구축 등 미래교육을 향한 초석을 쌓은 해이기도 하다. 이데일리는 ‘교육의 본질 회복’ ‘사회공동체가 함께하는 교육’ ‘미래로 향하는 교육’이라는 3가지 키워드를 통해 올해 경기도교육청이 추진한 정책들을 3회에 걸쳐 살펴본다. <편집자 주>


‘미래 교육의 중심, 새로운 경기교육’을 비전으로 내건 민선 5기 경기도교육청은 ‘교육의 본질 회복’을 위한 강력한 내부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 사례가 학생인권조례 개정을 통한 학생의 권리와 책임 및 학부모 책무성 부여이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지난달 13일 남부청사 컨퍼런스홀에서 ‘6급 미래인재 성장과정 -교육감님과의 소통과 공감의 대화’에서 직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경기도교육청)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취임 이후 추진해 온 학생인권조례 개정은 초창기에는 진보단체 등 여러 곳의 반발에 부딪혔지만, 최근 잇따라 불거진 교권침해행위 이슈로 인해 그 필요성이 인정된 바 있다. 아울러 내년부터는 학부모들의 학사 일정 등 단순 문의를 인공지능 챗봇이 담당하게 하는 등 교사들의 민원 업무를 경감시킴으로써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다양한 장치들을 도입하는 중이다.

이 밖에도 일선 학교 현장의 행정업무를 줄일 수 있도록 교육청 본청 안에 ‘학교업무개선담당관’이라는 조직을 신설해 다양한 업무 지원 시스템을 갖춰가고 있다. 교육의 본질 회복을 위해 경기도교육청이 올 한 해 추진한 다양한 정책들을 살펴본다.

경기도교육청은 올해 2월 ‘교육활동 중심 학교업무 지원계획’과 ‘현장 중심 공문생산 책임 강화 계획’을 수립했다. 이어 지난 3월 본청 조직 개편을 통해 학교행정개선, 학교교육지원, 현장지원, 빅데이터 등을 담당하는 학교업무개선담당관을 신설하고 학교 구성원 모두가 만족하는 업무 효율화를 위한 8개 주요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먼저 그간 학교에서 맡아왔던 가정통신문 발송은 공통 안내가 가능한 경우에는 교육지원청이 일괄적으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또 담임교사가 학급운영비를 자유롭게 집행할 수 있도록 내년도 학교회계 예산편성 기본지침을 개정해 개산급 지급 방식으로 전환한다.

이 밖에도 △학교 소규모교육환경개선사업 교육지원청 직접 집행 △NEIS 기반 중학교 입학 배정시스템 구축 △학교 행정업무 자동화 서식 개발·보급 △인공지능 기반 e-DASAN현장지원 챗봇 시스템 구축 △소규모학교 대청소 지원 △문서수발함 문서 택배 발송 서비스를 지원해 학교 업무를 효율화한다.

기존 6개였던 교육청 이관 학교 공통행정업무는 11개로 늘리고, 학교업무 간소화 및 효율화 발굴 및 각종 추진사항을 안내하는 ‘학교업무개선 이슈페이퍼’를 월 1회 정기 발간하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정책 개선을 위해 ‘공문서 불편신고제’를 운영해 전 교직원으로부터 불편 사항을 접수 받고 있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지난 3월 27일 경기 미래 교육 추진을 위한 직원들과 소통을 위한 ‘찾아가는 업무간담회’에서 직원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사진=경기도교육청)
민선 5기 경기도교육청은 인사제도 관행을 대폭 손질하는 혁신을 꾀하기도 했다. 경기도교육청이 지난해 11월부터 학교·교육지원청·직속기관 등에서 직급·직렬별 1900여 건의 의견을 들은 결과 교육청의 인적 폐쇄성이 짙어 학교 현장 근무자들이 도교육청에서 일할 기회가 적다는 지적이 나왔었다.

이에 따라 경기도교육청은 기존에 본청 전입 시 적용됐던 5급 공무원 연차 제한과 6급 이하 공무원의 본청·교육지원청 근무 경력자 우대조항을 과감하게 폐지하는 결단을 내렸다.

교육청 본청과 학교 현장 간 순환 근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교육행정의 소통을 강화시키기로 한 것이다. 또 장기교육과정인 ‘6급 미래인재 성장과정’을 확대 개편해 조직원들이 미래교육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했다.

임태희 교육감 취임 이후 경기도교육청은 이전 진보교육감 시절에는 감시와 제재의 대상으로만 여겨졌던 사립학교에 대한 현장 지원을 보다 강화하는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시설업무 지원에 필요한 인력을 배치하고 협의 창구를 마련해 사립학교 교육환경개선사업 현장 지원 시스템을 구축했다.

지난 4월에는 제1차 교육환경개선사업으로 122개 학교를 선정해 △LED 교체 △냉난방기 교체 △창호 교체 △외벽 개선 △화장실 환경 개선 등 306개 사업에 대해 약 573억 원을 지원했다.

또 사업 집행에 따른 학교와 교육지원청의 업무 부담 감소와 전반적인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난 7월 사립학교지원과에 시설직을 배치하기도 했다.

공립학교에 비해 인적순환이 적어 과원 또는 상피(부모가 자녀가 재학 중인 학교에 근무하지 않는 것)교원 문제를 앓고 있는 사립학교의 전문성과 다양성을 갖춘 교원 구성을 위해 인사지원단을 활성화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민선 5기 경기도교육청은 교육의 본질 회복이라는 대전제 아래 학교가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업무 체계를 개선하고, 미래교육을 준비해가는 공·사립학교 균형성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혁신 정책을 추진해 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교육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보완점을 찾아갈 것”이라고 전했다.

경기도교육청 전경.(사진=경기도교육청)


※이 기사는 경기도교육청의 지원으로 작성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