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혁신밸리 유치전 '활기'…2곳 선정에 8개 지자체 지원

by김형욱 기자
2018.07.23 06:00:00

8월 초 선정…농민단체 반발 등 변수

김현수(앞줄 오른쪽 세 번째)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올 3월24일 경북 상주시 새봄 농업회사법인의 스마트팜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농식품부)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스마트팜 혁신밸리’ 유치전이 2곳을 모집하는 데 8개 지방자치단체(지자체)가 지원하는 등 활기를 띄고 있다. 농식품부는 8월 초까지 두 곳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그러나 농민단체가 수급 불안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어 막판 변수가 될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3일까지 3개월 동안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유치할 2개 시·도를 공모한 결과 총 8개 지자체가 참가했다고 22일 밝혔다. 경기도와 강원도,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제주 등이 신청 서류를 제출했다. 농식품부는 이달 말까지 서류 검토와 현장 답사, 대면 평가를 마치고 내달 초 2곳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농식품부가 스마트팜 확산을 위해 농가와 청년 농업인, 기업, 연구기관을 한데 모아 시너지를 내고자 조성하는 일종의 농산업단지다. 정부는 2022년까지 총 네 곳을 선정해 한 곳 당 1800억원, 총 7200억원을 투입기로 했다.

스마트팜이란 농업에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을 도입해 농가의 편의·생산성을 높인 미래형 농가다.

정부의 스마트팜 거점화 계획도 탄력을 받게 됐다. 정부는 지난해 말 4010헥타르(㏊)이던 국내 스마트팜 보급 규모를 2022년까지 7000㏊로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관련 기술도 한 단계 끌어올린다. 스마트 축사·온실 외에 온실 밖 노지 채소나 수직형 농장도 도입한다.

박수진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은 “원래 의도했던 취지대로 청년과 생산자, 전후방 기업의 상호작용 시너지를 고려해 지역을 선정할 계획”이라며 “기업 대상 설명회 결과 중소업체와 통신기업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고 말했다.



문제는 기존 농가의 반발이다. 지자체의 참여 열기와 함께 각 지역 농민단체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LG CNS가 추진했던 새만금 스마트팜 단지 조성 사업이나 동부팜한농(현 LG화학 팜한농)의 수출용 토마토 생산 유리온실 설립 계획도 기존 농가 반발로 무산됐었다.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이 지난 9일 이번 계획이 ‘농업판 4대강 사업’이라며 강력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충북·부산경남·강원·제주 등 도연맹도 연이어 사업 철회를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농업계는 대기업이 참여하는 스마트팜 거점이 들어서는 걸 우려하고 있다. 재배 품목이 겹치기라도 하면 가격 폭락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충북의 한 농업인은 “정부·기업이 수출하겠다면서 스마트팜을 지어 놓고 암암리에 지역, 국내에 농산물을 유통하는 게 현실”이라며 “스마트팜 자체를 반대하는 건 아니지만 안 그래도 불안정한 기존 농가 대책을 우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도 진화에 나섰다. 박수진 정책관은 “이번 계획은 스마트팜 보급을 체계화하겠다는 것이지 면적을 늘리는 게 아니다”라며 “2022년까지 네 곳을 완성하더라도 실제 늘어나는 스마트온실은 80㏊ 정도”라고 설명했다. 기존 스마트팜 보급 목표 계획 안에서 움직이는 만큼 특정 작물의 생산이 늘어나면서 가격이 하락하는 일은 없다는 것이다.

품목 역시 기존 농가와의 충돌 가능성이 큰 토마토나 파프리카, 딸기 외에 신품목 개발을 모색한다. 또 이렇게 생산한 농산물을 국내에 유통하는 대신 수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는 “(지자체) 선정 과정에서도 지역 농업인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상생하는 부분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올 4월 발표한 스마트팜 확산 방안 추진계획. 지난해 말 발표한 계획에서 혁신밸리 조성 계획을 포함한 일부 계획(굵은 글씨)이 추가됐다. (표=농림축산식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