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경계영 기자
2013.11.13 07:00:00
[워스트레이팅]1000억 못 구해 ‘아쉬운 소리’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한진해운이 최후의 카드를 꺼내들었다. 대한항공에 손을 내밀었고 1500억원을 지원받았다. 그동안 한진그룹과의 계열 분리를 추진해왔던 한진해운으로서는 가장 피하고 싶었던 방법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한진해운은 달리 방도가 없었다.
위태롭게 버텨왔던 한진해운이 11월 만기가 돌아오는 기업어음(CP) 1050억원 때문에 대한항공에 지원을 요청했다. 국내 1위 해운사가 당장 1050억원을 융통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한진해운이 대한항공의 1500억원 지원으로 한숨을 돌렸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크레디트 업계의 우려는 더 커졌다.
11월 CP 만기가 끝이 아니기 때문이다. 12월에만 또다시 850억원 규모 CP 만기가 돌아오고, 해가 바뀌어 내년이 되면 갚아야 할 회사채 규모가 3900억원에 이른다.
대한항공의 지원 소식이 전해지기 전에 진행된 18회 SRE에서도 이미 한진해운에 대한 우려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응답자 111명 가운데 37명(33.33%)이 지금 한진해운의 신용등급인 ‘A- 부정적’이 적정하지 않다고 답한 것이다. 워스트레이팅 기업 중 2위로 지난 17회 SRE(워스트레이팅 공동 12위)보다 무려 10계단 상승했다.
대한항공에 지원을 요청하기 전부터 한진해운은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자구책 마련에 열심이었다. 2011년 이후 2958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하고 항만장비 매각, 컨테이너 운임채권 유동화, 컨테이너박스 세일즈앤리스백(Sales&Lease Back) 등으로 최대한 자산을 유동화했다.
그럼에도 재무상황은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 지난 7월 계열사인 한진해운신항만의 재무적투자자가 바뀌는 과정에서 685억원을 확보하는 등 자금을 마련했지만 11월 CP 만기를 막기 위해 대한항공으로부터 1500억원을 지원받았다. 이로도 충분치 않아 국내외 터미널 지분 매각, 사옥 매각 등 방안이 나오면서 유동성 확보안이 계속 나오고 있다.
4억달러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영구채) 발행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 역시 녹록지 않다. 자체 신용도로는 영구채 발행이 어려운 상태라 금융기관의 보증이 필요하지만 금융기관 역시 난색을 보이고 있다.
산업은행이 2억달러를, 하나·우리은행이 각 1억달러를 보증하는 방안이 나오고 있지만 모두 ‘아직’이라는 유보적인 입장이다. 산업은행과 하나은행은 그나마 호의적이지만 우리은행은 대출 비율에 따라 보증을 서는 안을 주장하고 있다. 대출이 있는 은행 모두가 보증 서자는 것이다. 한진해운의 금융권 대출 규모는 제2금융권을 제외하고 1조여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산업은행과 정책금융공사가 6300억원, 농협(1000억원), 부산은행(800억원), 우리·하나은행(각 550억원), 국민은행(450억원), 외환은행(410억원) 등이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주채권은행조차 보증서길 꺼려할 정도로 기업의 상황이 안 좋은데 다른 은행이 선뜻 나서서 보증을 서줄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다만 금융당국이 한진해운의 상황에 관심을 보이면서 다른 금융기관의 보증 등 제3의 방안으로 영구채 발행이 성사될 수는 있다. 그러나 당국이 이를 강제할 수 없어 금융기관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영구채 발행이 무산될 경우 유상증자가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공모 방식은 어려운 상황이다. 업황 부진, 열악한 재무구조 등으로 연초 1만3450원까지 올랐던 주가는 11월1일 종가 기준 7360원으로 뚝 떨어졌다.
대한항공을 대상으로 한 제3자 배정 유상증자가 유력하지만 규모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진그룹으로부터 계열 분리를 추진했던 최은영 한진해운 회장이 지분변화를 감수하고 유상증자를 진행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최 회장과 그외 우호지분은 2218만여주, 대한항공과 한국공항 등의 지분은 1201만여주다. 시장은 이 상황에서 대한항공을 대상으로 할 수 있는 유상증자의 최대 주식 수는 1000만주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이 경우 한진해운홀딩스의 주가는 10월 말 기준 5330원으로 지원 규모는 최대 500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한진해운은 매출 85% 이상을 컨테이너선에 의존한다. 컨테이너 운임이 올라야 수익이 개선될 수 있지만 컨테이너선 운임지수(CCFI)는 지속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