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구조조정 덕에 웃은 철강업계, 보호무역·제품價 변수에 불안
by최선 기자
2016.07.26 06:00:00
철강업계, 중국 구조조정 가속화 두고 하반기 호실적 기대
미국, 중국, 신흥국 발 반덤핑관세 적용 속출해 상황악화
조선·건설 업계와 가격 인상 협상 난항도 변수
| 용광로에서 쇳물이 나오는 모습. 포스코 제공. |
|
[이데일리 최선 기자] 하반기 철강업계가 각국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지지부진한 중국발 조강생산 감산 등으로 불안한 시기를 보내고 있다.
그동안 국내 철강업계는 선제적 구조조정과 중국 정부 주도의 조강생산 감산 기대로 인한 철강재 가격 인상 등으로 지난 2분기까지 개선된 실적을 거뒀다.올초 철강업계 실적이 좋지 않을 것이란 우려를 씻어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미국, 중국 등 각국의 반덤핑 관세 적용이 심화되는 등 대외적 환경과 국내 연관산업과의 가격 협상 난항 등이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26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005490), 현대제철(004020), 동국제강(001230) 등 국내 철강업계는 올해 상반기 글로벌 경기 침체를 고려하면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 연결 기준으로 포스코는 올해 2분기 6785억원의 영업이익을, 현대제철은 432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동기 대비 1.1%, 0.3%씩 감소한 금액이다. 특히 현대제철은 4분기만에 4000억원대 영업이익을 회복했다.
동국제강은 전년 2분기보다 127%나 증가한 122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2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한 이후 5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 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되살아나고 있는 건설경기, 중국산 철강제품 가격 상승, 회사마다 고부가제품 판매 확대 등 노력이 맞물린 결과다. 실제 국산 열연 가격은 연초 대비 25% 가량 올랐고, 철근 가격도 약 20% 정도 상승했다. 원자재인 철광석 가격도 올랐고 중국 내수가격도 올랐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 신흥국 등 상당수의 국가가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반덤핑관세를 물리거나 현지 업계가 수입규제 제소를 하는 등 대외적 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이다.
철강협회에 따르면 현재 해외에서 국내 철강제품에 대한 수입규제를 제소했거나 조사 중인 건수는 총 18개국 83건에 달한다. 미국(27건), 인도(12), 태국(10), 말레이시아(11), 호주(9) 순으로 많다.
최근 미국 상무부는 한국산 냉연강판에 반덩핑 관세와 상계 관세를 매기기로 결정해 포스코가 64.7%, 현대제철이 38.2%의 관세가 부과된다. 포스코는 연간 약 10만t, 현대제철은 4만5000t 가량으로 적은 양을 수출하고 있지만, 철강업계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어 우려하고 있다.
중국도 지난 23일 우리나라, 일본, 유럽연합(EU)으로부터 수입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에 대해 37.3~46.3%에 달하는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 밖에도 멕시코, 대만, 캐나다, 브라질 등도 우리 철강제품 가격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미국 수출 비중은 비교적 미미한 수준이지만 향후 다른 국가로 이같은 보호무역 기조가 번지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단순한 경제논리가 아닌 정치적인 셈법이 작용했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내수 시장에서의 제품 가격 인상도 녹록지는 않은 상황이다. 철강 가격이 올랐지만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조선업체는 후판 가격 인상은 가혹하다는 입장을, 건설업계는 철근 가격 인하를 주장하고 있는 등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 측은 최근 2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에서 “상반기에 자동차나 조선용 제품은 가격 인상분이 거의 반영되지 않아 하반기 반영을 위한 협상을 진행중이다. 전반적인 철강제품 가격은 3분기 중 t당 2~3만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소폭 인상을 예고하기도 했다.
아울러 중국 철강업계가 적극적인 감산에 나서지 않고 있는 점도 악재로 꼽힌다. 올해 상반기 중국의 조강생산량은 전년동기 대비 1.1% 감소한 3억9560만t을 기록했다. 전 세계 철강업계의 감소비율 평균인 1.9%에 미치지 않는 성과다. 중국 정부는 향후 5년간 1억5000만t을 감산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대적인 감산은 지역 실업률 증가와 지방 정부의 반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쉽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중국 정부의 발표에 기대를 가지면서도 긴장을 늦추지 않고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해야 하는 상황이 빚어지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