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모의 樂카페]벚꽃엔딩 말고 없나요
by김현식 기자
2024.04.15 06:30:00
[임진모 대중음악평론가] 평년보다 조금 늦게 피었다는 벚꽃이 4월 들어 만개하면서 사방 천지에 벚꽃 눈이 내린다. 밝은 표정의 봄 유랑객과 여유로운 만보객들이 벚꽃 무성한 길을 걷는 광경 한편으로 봄노래 아니 구체적으로 말해서 벚꽃노래가 울려 퍼진다. 더 정확함을 기한다면 버스커 버스커의 ‘벚꽃엔딩’이다. ‘봄바람 휘날리며/ 흩날리는 벚꽃 잎이/ 울려 퍼질 이 거리를...’
발표한지 어느덧 12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올해도 어김없이 이 곡은 벚꽃 축제현장과 라디오를 잠식했다. 음원차트 순위에도 다시 올랐다. 작사, 작곡자 아니 음악계를 넘어 만인이 부러워할 인물이 아마도 이 곡을 쓴 장범준일 것이다. 음원 시대로 재편된 이후 갈수록 유통기한이 짧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솔직히 음악가들은 한 해 히트만으로도 만족한다. 그런데 이 곡은 12년간 계속 봄철 특히 벚꽃 철만 되면 다시 생을 부여받아 돌아오니 이건 만족이 아니라 거의 포만감 수준이다. 그간 쌓인 저작권료만 수십억원인 이른바 ‘연금 송’ 아닌가.
2000년대 들어 가장 성공한 대중가요라는 위상이 하사된 것은 이 곡이 미친 역사적 파장과 막대한 영향력 때문이다. ‘벚꽃엔딩’은 크게 두 가지를 바꿨다. 이전에도 얼마든지 존재했던 계절 노래 이른바 시즌 송 가운데 대세는 가을과 겨울 노래였다. 대중가요가 정서적으로 기대는 사랑과 이별 정서에 어울리는 철이 춘하(春夏)보다는 추동(秋冬)임은 누구나 안다. ‘가을엔 가을엔 떠나지 말아요... 차라리 하얀 겨울에 떠나요’
1960년대 이후 경제성장과 학력신장으로 자신감이 충만한 베이비붐 세대와 더불어 약동하는 청춘과 맥을 함께 한여름의 록과 댄스음악이 득세하기 시작했다. 우드스톡 페스티벌, ‘해변으로 가요’, ‘여름 안에서’, ‘여름이야기’, ‘여름아 부탁해’….
반면 봄노래는 언제나 있어왔지만 결코 트렌드를 쥐고 가진 못했다. ‘벚꽃엔딩’의 급습이 이 역사적 흐름을 헝클어버렸다. 가요 역사상 처음으로 봄노래가 시즌 송의 선두를 점하게 된 것이다. 시즌송의 구조조정 단행으로 이제 작사 작곡자들은 의도적으로 봄을 겨냥해야 했고 또 상당수 노래들이 호응을 얻었다. 장범준은 ‘꽃송이가’,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 네 샴푸향이 느껴진 거야’ 등도 사랑을 받으면서 봄의 전령으로 거듭났다.
또 하나의 변화는 ‘벚꽃엔딩’과 함께 봄꽃의 기존 질서가 무너졌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이미자의 ‘동백아가씨’와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말해주듯 동백꽃이 봄노래의 으뜸 소재였고 목련, 민들레, 찔레꽃, 장미 등이 다채롭게 환영을 받았다. 2012년 이후에는 이 모든 꽃을 제치고 벚꽃이 원톱에 등극했다. 이 곡이 워낙 압도하다 보니 환멸감이 초래된 나머지 앙증맞은 저격의 기운이 느껴지는 노래마저 등장했다.
‘난 다른 얘기가 듣고 싶어/ 한바탕 휩쓸고 지나가버릴/ 오오 봄 사랑 벚꽃 말고...’ 2년 후인 2014년 나온 하이포와 아이유의 ‘봄 사랑 벚꽃 말고’는 ‘벚꽃엔딩’의 전파독식에서 벗어나려는 팬들의 지지를 얻었다. 이 곡도 해마다 음원차트에 부활한다. 그로부터 다시 2년이 지나 등장한 인디 듀오 십센치의 ‘봄이 좋냐??’는 차별화 정도가 아니라 거의 야유에 가깝다. ‘봄이 그렇게도 좋냐 멍청이들아/ 벚꽃이 그렇게도 예쁘디 바보들아/ 결국 꽃잎은 떨어지지 니네도 떨어져라/ 몽땅 망해라!..’
같은 해 아이오아이(I.O.I)의 ‘벚꽃이 지면’도 크게 다르지 않고 2019년 볼빨간 사춘기의 ‘나만 봄’에도 벚꽃 물림증이 도져있다. ‘벚꽃도 뭐고 다 필요 없어/ 나는 네 곁에 있고 싶어 딱 붙어서 봄이 지나갈 때까지/ 다른 사람 다 사라져라/ 나만 봄!..’ 하긴 도로의 가로수길이 과거 플라타너스에서 벚꽃으로 환골탈태한 것을 보면 벚꽃 노래의 범람은 어쩔 수 없다. 길거리든 숲속이든 어디를 가도 온통 벚꽃천지인 것에 더 많은 종류의 꽃을 접하고 싶다는 불만도 틈입한다. 무슨 일이든 균형과 다양성을 해하는 쏠림은 바람직하지 않다. 봄 시즌의 꽃노래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