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위안부 성금’ 관련 의혹 철저히 규명해야

by논설 위원
2020.05.12 05:00:00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의 전격 폭로로 촉발된 ‘위안부 성금’ 논란이 진실공방으로 번질 기세다. 피해자 지원이 너무 인색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정치권도 여야로 갈려 “가짜 뉴스다, 아니다”라며 갑론을박이다. 일제강점기 시절의 비극인 위안부 문제가 정쟁거리로 전락한 상황이다. 민족의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위안부 문제조차 정치적 관점에 따라 흔들리고 있다는 얘기다.

문제가 확대되자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해명에 나섰다. 어제 기자회견을 통해 2017년부터 접수된 기부금 22억원 중 9억원을 피해자 지원에 썼다고 공개한 것이다. “후원금 전달만이 지원사업은 아니다”라는 주장도 덧붙여졌다. “지난 30년간 속을 만큼 속았고 이용당할 만큼 당했다. 성금을 피해자들한테 쓴 적이 없다”는 이 할머니의 폭로에 대한 해명인 셈이다. 그러나 정의연이 밝힌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연도별 지원액을 봐도 용돈 수준을 크게 넘어서지 못한다. 오죽하면 이 할머니가 참고 참다가 울분을 토해냈을까.



결국 정의연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피해 할머니들에겐 기부금 생색만 내고는 대부분을 자기들 의사에 따라 썼다는 사실을 시인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피해자 중심주의’를 내세워 박근혜 정부 당시의 한·일 위안부협정을 극구 반대했던 입장에서 이만저만한 자가당착이 아니다. 할머니들의 건강과 명예회복, 정서안정을 위해 기부금을 쓴 것이 틀림없겠지만 이러한 해명이 설득력을 지니려면 구체적인 증빙서류도 같이 내놔야만 할 것이다.

이러한 의혹의 중심에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인 윤미향 전 정의연 이사장이 위치하고 있다. 윤 전 이사장이 한·일 위안부 협상 내용을 미리 통보받았고, 할머니들에게 화해치유재단 돈을 받지 못하게 했다는 등의 얘기에 대해서도 해명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김복동 장학금’이 재일조선학교 학생들에게 주라는 고인의 뜻과 달리 시민단체나 노조 관계자 자녀들에게 지급됐다는 불편한 지적도 이어진다. 그런데도 이용수 할머니의 기억이 왜곡됐다는 등의 주장으로 문제를 회피하려는 태도는 오히려 의혹만 키울 뿐이다. 위안부 문제야말로 진상규명을 통해 의혹을 말끔히 털고 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