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금 ‘1픽’ 두산로보, 한 달만 150%↑…증권가 “지속 관심”

by이정현 기자
2023.11.28 05:20:00

9일 연속 상승, 누적상승률 84.56%…시총 5兆 돌파
연기금이 상승 주포, 외인은 27일 차익 실현 나서
금리인하·정책지원에 로봇테마 강세, 로봇ETF도 반등
“정부 차원 로봇산업 육성 정책 발표 가능성 주시해야”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지난달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상장한 두산로보틱스(454910)가 시가총액 5조원을 돌파하며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로봇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 지원과 금리 인하 가능성에 따른 성장주 호재가 맞물리면서다. 외국인과 기관 수급이 번갈아 진입하며 주가를 끌어올리자 저점을 기록한 한 달 전 대비 150% 가까이 올랐다. 증권가에서는 두산로보틱스를 비롯한 로봇 테마주의 중장기적 외형성장이 전망되는 만큼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2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두산로보틱스는 전 거래일 대비 7.66%(5700원) 오른 8만1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 15일 이후 9거래일 연속 상승이며 이 기간 누적상승률 84.56%를 기록했다. 이달 1일 종가기준 4만200원에서 단숨에 두 배로 주가가 치솟은 수치다. 시가총액은 종가기준 5조1921억원으로 삼성엔지니어링(028050), 한화오션(042660) 등을 제치고 코스피 시장 66위에 올랐다. 두산로보틱스가 상장한 지난달 5일 종가기준 시가총액은 3조3317억원이다.

두산로보틱스의 주가 상승의 주포는 연기금이다. 이달 들어 하루도 빠지지 않고 순매수에 나서며 누적 988억원어치 사들였다. 두 번째로 많이 사들인 삼성SDI(006400)의 순매수 규모 669억원 대비 50%가량 더 많다. 전 거래일까지 기관과 함께 물량을 주고받으며 주가를 끌어올렸던 외국인은 27일 924억원어치 내다 팔며 차익 실현에 나섰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시장에서는 두산로보틱스 상승세의 결정적 요인으로 고금리 기조 종료와 정부의 지원정책을 꼽고 있다. 성장주의 발목을 잡던 금리 인상 사이클이 곧 꺾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데다 로봇의 실외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 골자인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개정안이 지난 17일 시행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그간 실외 이동 로봇은 기존 도로교통법상 차에 해당해 보도 통행이 금지됐으나 법 개정으로 로봇도 법적으로 보행자의 지위를 부여받았다.

실적 개선 기대감도 커진다. 두산로보틱스는 올해 3분기 영업손 61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으나 상장 당시 목표로 제시한 내년 중 흑자전환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다만 협동로봇 시장의 역성장 가능성 및 경쟁 환경 심화 등은 리스크로 거론되고 있다. 양승윤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고금리 및 경기 불확실성이 여전하나 로봇 수요는 여전히 긍정적”이라며 “지속적인 라인업 추가 및 판매채널 확대를 통한 성장을 기대해볼만하다”고 평가했다.



훈풍은 두산로보틱스 뿐만 아니라 로봇주 전체에 부는 중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가 이달 들어 14.54% 올랐으며 로보티즈(108490)(24.29%), 로보스타(090360)(17.30%), 로보로보(215100)(10.89%), 뉴로메카(348340)(15.78%), 에브리봇(270660)(19.86%) 등 대부분 로봇주가 두자릿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주요 로봇 기업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 ‘KODEX K-로봇액티브’도 지난달 말을 기점으로 반등에 성공했다.

증권가에서는 협동로봇 도입 확대로 산업용 로봇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관련 사업 육성에 대한 민관의 의지가 강하게 표출되고 있는 만큼 로봇주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보고 있다. 산업용 로봇시장은 협동로봇의 고성장세를 기반으로 올해 170억 달러 규모에서 2028년 325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의료 등 서비스 로봇 시장 역시 높은 성장률이 기대되는 분야다.

정부의 추가적인 정책 지원도 기대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개정안과 더불어 “연내 첨단 로봇 산업의 비전과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예고했다. 증권가에서는 정부의 로봇산업 육성 플랜이 담긴 ‘첨단 로봇 산업전략 1.0’ 발표가 될 것으로 점치고 있다.

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정책 방향을 고려할 때 로봇의 전반적인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법적 근거와 로봇 기술의 국산화를 지원할 수 있는 투자 등이 담길 가능성이 크다”며 “지연될 가능성이 해소된 것은 아니나 정부 차원의 로봇산업 육성 정책 발표 가능성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