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박종오 기자
2020.06.29 00:30:00
산업은행, 이번주 KDB생명 매각 우선협상자 선정
5500억 사모펀드에 우리은행·산업은행·칼라일 등 투자
우리은행, MG손해보험에도 투자…향후 인수에 유리
[이데일리 박종오 기자] 국책은행이 소유한 KDB생명이 10년 만에 민간에 매각될 전망이다.
2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KDB산업은행은 이르면 이번주 JC파트너스를 KDB생명 매각의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우리은행은 지난 26일 열린 투자심의위원회에서 KDB생명 지분 투자를 확정했다. 경영 참여형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JC파트너스가 KDB생명 경영권 인수를 위해 조성하는 펀드에 1000억원을 출자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JC파트너스는 산업은행이 최근 진행한 KDB생명 매각 본입찰에 단독으로 참여했다. JC파트너스의 사모펀드가 산업은행이 보유한 KDB생명 지분을 2000억원에 사들이고, 신규 발행 주식 3500억원어치를 추가로 매입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KDB생명 경영권 이전 및 자본 확충에 총 5500억원을 투입하는 것이다.
JC파트너스가 조성하는 5500억원 규모 펀드에는 산업은행도 1000억원 내외를 투자할 예정이다. 우리은행과 산업은행이 2000억원을 출자하고, 국내·외 기관 투자가가 나머지 3500억원을 투자하는 구조다. 국외 투자자 중에선 글로벌 투자 기업인 칼라일의 참여가 유력시되고 있다.
양측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해외 투자 기관의 국내 실사 어려움 등을 고려해 KDB생명 인수 대금을 1차 3500억원, 2차 2000억원으로 나눠서 지급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산업은행은 KDB생명 인수 부담을 낮추기 위해 투자 손실 위험도 직접 감당하기로 했다. 만약 펀드의 투자 손실이 발생할 경우 손실 부담 순서를 △산업은행 출자금 700억원 △산업은행 출자금 300억원 및 우리은행 출자금 500억원(둘은 같은 순위) △우리은행 출자금 500억원 및 그 외 기관 투자가 출자금 3500억원(둘은 같은 순위) 순으로 정한 것이다.
산업은행이 이번주 KDB생명 매각의 우선 협상 대상으로 JC파트너스를 선정하고, 여기에 대형 금융회사인 우리은행의 투자 참여가 이뤄지면 향후 금융 당국의 최대 주주 변경 승인 심사도 무난하게 통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