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인가족돌봄지원제도 이용률 한자리 수 그쳐

by김보영 기자
2018.04.20 06:00:00

市, ''일하는 노인가족돌봄자 지원방안 연구'' 발표
''돌봄 스트레스 커'' 5점 만점 중 4.17점
돌봄가족휴가·가족간호휴가 사용률 5%도 안돼
"정책 인지도 제고·정책 수용할 근로조건 개선해야"

서울시청사 및 서울광장 전경.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보영 기자] 몸이 불편한 노인 가족을 돌보며 직장 생활을 병행하는 ‘일하는 가족돌봄자’ 상당수가 서울시가 시행 중인 노인돌봄가족지원제도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복지재단 연구평가본부 소속 김미현 선임연구위원은 20일 일을 하며 ‘장기요양재가서비스를 받는 부모나 배우자’를 부양 중인 서울시민을 조사한 ‘일하는 가족돌봄자 지원방안 연구-노인돌봄가족을 중심으로’를 발표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는 노인 가족의 부양 책임 대부분이 가족에게 전가되고 있는 사회적 현실 속에서 가족돌봄자들이 겪는 실태를 파악해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자 진행됐다.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가족돌봄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장기요양재가서비스를 받는 노인을 부양하는 돌봄자로 ‘자녀’가 39.2%로 제일 많았고, ‘배우자(22.4%)’와 ‘간병인(16%)’이 그 뒤를 이었다.

성별 유형으로는 여성 돌봄자가 88.5%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이들의 평균 연령대는 50.9세로 나타났다.

돌봄 대상 노인은 여성(69.5%)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81.3세로 배우자가 있는 노인(36%)에 비해 혼자 거주 중인 노인을 부양 중이라고 응답한 사람들(63.5%)이 두 배 가까이 많았다.



가족돌봄자들은 ‘가족 돌봄으로 겪는 어려움’(5점 만점·점수가 높을수록 어려움의 정도가 높음)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심리·정서적 어려움(평균 4.17점)을 가장 많이 호소했다. 아울러 ’사회·문화적 활동 참여의 어려움(4.03점)‘과 ’신체적 어려움(4.02점)‘, ’경제적 어려움(3.7점)‘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럼에도 이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자문을 구할 전문 기관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이들 대부분은 돌봄 스트레스를 해결하고자 다른 가족 구성원(71%·복수응답)이나 친구(61%)에게 주로 상담을 받는다고 응답한 반면, 전문가들에게 도움을 받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1%에 그쳤다”며 “노인돌봄 영역이 사회적 안건으로 수용되지 못하고 있는데다 상담 전문기관 수도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돌봄자들 대부분은 서울시가 시행 중인 가족돌봄지원정책 중 ’노인돌봄가족휴가제‘(68.5%·복수응답)를 가장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가족돌봄휴직제‘(62.5%)와 ’가족간호휴가제도‘(37%) 등이 뒤를 이어 이들이 휴가를 필요로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반면 이들 제도를 이용했다고 응답한 돌봄자는 ’가족간호휴가제도‘가 4.5%, ’노인돌봄가족휴가제‘가 2.5% 등 한 자리 수에 그쳤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정책 인지도가 낮다는 점도 문제지만, 돌봄자의 절반 이상이 정책을 제대로 활용하기 어려운 열악한 근로 환경 속에서 일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서울시와 중앙정부가 돌봄 서비스를 통합하고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