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성희롱 논란’ 교원평가, 폐지 열어놓고 논의를

by신하영 기자
2023.09.13 06:00:00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 교원능력개발평가(교원평가)를 전면 재설계하겠다고 밝혔다. 교사들에 대한 성희롱 논란을 일으킨 서술형 문항은 폐지까지 열어놓고 논의할 방침이다.

교원평가는 이명박 정부 때인 2010년 교원 전문성 향상을 목적으로 도입됐다. 학교 현장에선 매년 9월부터 11월까지, 약 3개월간 진행되며 5점 척도로 평가가 이뤄진다.

제도 시행 13년이 지났지만 학교 현장에선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압도한다. 교원평가 중 학생·학부모 만족도 조사가 익명이 보장된 서술형 평가로 이뤄지면서 성희롱·욕설·폭언 논란을 초래한 탓이다.



실제 서울교사노조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피해사례에 따르면 ‘00(교사이름)이는 그냥 김정은 기쁨조나 해라’, ‘00이 너 유통이 작아’ 등 성희롱 표현부터 ‘나대지 마라’, ‘쓰레기’ 등 폭언까지 등장했다.

‘교원 전문성 향상’이란 취지를 살리려면 교사들이 서술형 평가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이를 통해 부족한 점을 인식하고 자신의 수업에 개선점을 반영해야 평가의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지금처럼 성희롱·폭언·욕설이 난무하는 평가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역효과만 낼 뿐이다. 오히려 심각한 교권 침해로 바닥까지 떨어진 교사들의 사기만 더욱 추락시킬 수 있다.

교육부는 불과 3개월 전만 해도 서술형 평가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개선책이라고 내놓은 방안은 △경고문 게시 △필터링(금칙어 여과 기능) 강화 등이다. 필터링을 강화하더라도 학생들이 특수기호·숫자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이를 우회할 공산이 크다.

마침 이주호 장관도 “서술형 평가의 문제점을 잘 듣고 있으며 이 부분을 확실히 개선하겠다”고 했다. 서술형 평가가 성희롱·욕설로 교사들에게 상처만 준다면 차라리 유지보다는 폐지가 정답이다. 교사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 교원평가의 취지가 되살아나도록 대폭 개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