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전망대]올여름 '전력난 비상'..묘책 찾는다

by장순원 기자
2011.06.19 10:00:00

20일 전력수급 대책회의..일주일간 나라살림 대토론회

[이데일리 장순원 기자]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에어컨 같은 냉방제품 전력사용량도 급증하고 있다. 이러자 벌써부터 여름 전력 수급상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도 올해 여름 전력대란이 생길 수 있다고 판단, 바짝 긴장하고 있다. 공급능력은 지난해보다 6.2% 늘어난 7897만kW지만, 최대 소비전력은 7% 증가한 7477만kW로 예상돼서다.

이 경우 예비전력은 420만㎾까지 줄어들게 된다. 예비전력이 400만㎾ 아래로 떨어지면 비상상황이다. 만약 원전 같은 대용량 발전소가 사소한 고장 탓에 가동을 멈춘다면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20일(월) 열리는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회의에서 어떤 대응방안이 나올지 관심이다.

지식경제부는 국회 업무보고에서 여름철 전력대란을 막기 위해 신규 발전기를 준공해 공급능력을 최대한 확보하고,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3000여개 기업을 집중 관리하는 등 가능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하기로 한 상태다.

정부는 비상상황이 현실화되면, 전기 공급을 일부 강제적으로 제한하는 직접부하제어 등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주에는 향후 5년간 나라살림 운용계획과 내년도 예산편성을 어떻게 짤 지 대대적인 공개 토론회가 1주일간 열린다. 재정건전성을 강화하면서도 서민생활 안정 및 성장잠재력 확충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반값등록금 등 교육예산, 무상복지 등 복지예산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예상된다. 정부는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오는 9월말까지 국가재정운용계획과 내년 정부예산안을 확정한 뒤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24일(금)에는 기획재정부 장관과 경제 5단체장이 간담회를 열고 머리를 맞댄다. 일자리 만들기와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물가문제가 집중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같은날 물가안정대책회의가 열린다. 최근에는 공급 뿐 아니라 수요측 인플레이션 압력이 확대되고 있어 물가안정을 하반기 경제운용방향의 핵심과제로 추진키로 한 바 있다.

국회에서는 각 상임위와 본회의가 열어 여야가 경쟁적으로 추진하는 반값등록금 관련 법안을 비롯해 분양가 상한제, 근로시간면제(타임오프) 제도에 대해 활발하게 논의한다.

이밖에 한국은행은 20일 경제동향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