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순용 기자
2022.01.21 07:32:52
겨울철 돌연사의 주범, 정기적인 건강검진으로 심장 건강 상태 확인 중요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찌릿한 가슴 통증이 자주 반복된다면 협심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협심증은 제때 관리와 치료가 진행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하는 심근경색으로 악화할 수 있다. 주로 50대 이상 중장년층의 남성들에게서 발생하며 최근 몇 년 동안 환자 수가 늘어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0년 협심증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 수는 67만 4,598명으로 집계됐다. 2010년 기록한 50만 3,825명보다 10만 명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발병 연령대로 보면 50세 이상 환자 수가 65만 4,666명으로 전체 환자의 97%를 차지했다. 그중에서도 50세 이상 남성 환자 수가 38만 4,672명으로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좁아지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관상동맥은 심장과 연결된 혈관으로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관상동맥이 좁아지게 되면 심장이 필요로 하는 혈액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좁아진 관상동맥이 오랫동안 방치된다면 혈전이나 콜레스테롤로 완전히 막혀버리는 심근경색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는 겨울철 돌연사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만큼 협심증은 이른 시일 내에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
협심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을 짓누르는듯한 가슴 통증이다. 짧게는 수 초에서 길게는 5분까지 통증이 지속되기도 한다. 평소보다 적은 운동량에도 급격하게 숨이 차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실신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와 함께 구토, 어지럼증 호흡곤란 등의 증세가 빈번하게 나타난다면 협심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만약 활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 같은 증세가 자주 느껴진다면 관상동맥의 협착 정도가 심하게 악화한 상태일 수 있다.
고혈압, 비만, 흡연, 운동 부족 등은 협심증의 대표적인 원인이다. 이 같은 요인들은 혈관 건강을 악화 시켜 정상적인 혈액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 특히 중장년층의 경우에는 노화로 인해 혈관에 노폐물이 축적되기 때문에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 기온이 낮은 시기에는 몸이 움츠러들 듯 혈관도 수축해 있는 상태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혈관 건강에 각별히 유의하는 게 바람직하다.
협심증은 혈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고 혈관을 확장해주는 약물치료를 통해 증상 호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약물치료는 환자의 상태와 병력 등을 고려해 진행된다. 의사와 상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로 약을 먹는 것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치료만큼이나 예방도 중요하다. 금연과 금주는 혈관 건강을 지키는데 기본이 되는 습관이다. 매일 20~30분간 꾸준히 운동하는 것 역시 협심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음식을 싱겁게 먹는 식습관 역시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하므로 협심증을 막는 긍정적인 요소가 된다.
세란병원 내과 장준희 부장은 “협심증이 의심된다면 심장 초음파 검사, 심전도 검사 등을 통해 심장 기능을 판단한 뒤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며 “겨울철에 바깥 활동을 하는 중 갑작스레 왼쪽 가슴에 찌릿한 통증이 자주 느껴지는 중장년이라면 정확한 검사를 받아 보는 게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협심증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전문의와 심혈관 건강을 관리해 나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며 “생명을 앗아갈 만큼 위험한 질병이기도 하지만 식생활 습관 개선과 꾸준한 약물치료로 증상 호전을 기대해 볼 수 있으므로 이른 시일 내에 관리를 시작할 것을 권유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