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년]'병상 초과' 국가…감염병 앞에 나타났던 한계

by함정선 기자
2021.01.17 08:52:31

OECD 회원국 중 병상 수 최고 수준 기록할 정도였으나
감염병 병상은 그렇지 못해 코로나19 발병 후 혼란
대구·경북 유행 시 병상 배정 기다리다 ''사망'' 사건도
이후 병상 부족과 확충하는 과정 반복 이어져
3차 대유행 극심한 병상 부족, 대규모 확충…이제야 안정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코로나19가 국내 처음 유입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대구·경북 지역에서 신천지 예수교를 중심으로 1차 대유행이 시작된 후 방역 당국과 국민을 가장 당황하게 만들었던 것은 병상 부족 문제였다.

그동안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병상 수가 최고 수준을 기록할 정도로 ‘병상이 넘쳐난다’는 평가를 받았고, 2019년까지만 해도 복지부가 병상을 관리하겠다며 의료법 개정안을 발표했을 정도였다. 인구 1000명당 병상 수가 12.3개로 OCED 평균 4.7개 대비 2.6배에 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염병 앞에서는 달랐다. 감염병에 필요한 병상은 일반 병상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음압 시설이 필요한 특수한 병상과 이에 따른 의료진이 있어야 하는 감염병 전담 병상은 턱없이 부족했고 1차 대유행 당시 병상 부족 등 혼란이 이어지는 과정에서 일부 고위험군 환자들이 병상을 기다리던 중 안타깝게 목숨을 잃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3월 대구지역 환자 급증에 따른 병상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코로나19 경증 환자 치료를 위한 생활치료센터를 신설하는 등 감염병 환자 치료체계 재구축에 나서기 시작했다.

그러나 병상 부족 문제는 새로운 유행이 지속될 때마다 이어졌다. 지난해 5월 서울 이태원 클럽발 유행으로 서울과 수도권에 일시적으로 확진자가 증가하자, 의료자원이 집중된 수도권에서조차 병상이 부족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이때 정부는 서울과 경기, 인천의 병상을 한 권역으로 묶어 공동 대응하는 체계를 갖추는 한편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병상을 확충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그러나 정부의 병상 확보 속도는 빠르지 못했고, 8월 2차 대유행이 시작됐다. 도심집회, 사랑제일교회 발 2차 대유행은 늘어나는 확진자 수도 문제였지만 고연령 확진자의 비중이 늘어나며 동시에 위중증 확진자 역시 증가했다는 점이 문제였다.

위중증 확진자를 수용할 중환자 병상 부족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 중환자 병상은 인공호흡, 에크모 등 특수 장비뿐만 아니라 훈련된 의료진 등이 필요해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병상이 아닌 상황으로 아슬아슬한 병상 대응이 이어졌다.

2차 대유행이 사그라지며 병상에 대한 우려도 한풀 꺾이는 듯 했으나 문제는 지난해 말 3차 대유행 때 발생했다.



일상 감염을 중심으로 하루 1000명 이상까지 확진자가 발생했던 3차 대유행은 그동안 땜질식으로 대응해온 병상의 한계를 그대로 드러냈다.

전체 확진자의 70% 이상이 몰렸던 수도권에서는 하루 여유 병상이 1~2개에 불과한 날이 며칠씩 이어졌고, 그나마 중환자 병상은 여유가 없는 날이 더 많았다. 경기도에서는 중환자 병상이 없어 지방으로 환자를 전원시키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결국 국내에서 의료 자원이 가장 풍부하다는 서울에서 60대 확진자가 병상 배정을 기다리던 중 사망하는 사건이 다시 발생했다.

이후 정부는 민간 종합병원 등에 행정명령 등을 통해 중환자 병상을 확보하고 정부 산하 병상을 모두 비워 감염병전담병원의 병상을 늘려나가는 등 병상 1만개 확보에 나섰다.

하루 900~1000명 확진자가 이어지던 때였고, 만약 병상이 더 확충되지 않는다면 병상 대기 중 목숨을 잃는 사례가 더 발생할 수 있는 긴급한 상황이었다.

이 같은 극단적인 병상 확보 정책으로 현재 방역 당국은 수도권 지역에서 하루 1000명씩 확진자가 약 20일 이상 발생해도 여유롭게 대응할 수 있을 수준의 병상을 갖추게 됐다.

현재 전국 기준 생활치료센터는 총 74개소 1만2952병상을 확보했고, 이 중 수도권은 1만802병상이다. 중등도, 고위험군 확진자를 치료하는 감염병전담병원은 총 8597병상을 확보하고 있다.

중환자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거나, 중환자에서 회복 단계에 있는 확진자를 위한 준-중환자 병상은 417 병상을 확보했다. 중환자 병상은 총 687 병상을 확보 중이며 이 중 수도권에는 435병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