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기덕 기자
2015.11.06 07:00:00
양의사 "해부학·생리학 등 배우지 않는 한의학 미신"
의료기기 사용 규제 등 한·양방 협진시스템 ‘無’
“인체 해부학 알아야 침술 효과… 표준 교육과정 필요"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한의학에 작별을 고하다’ 최근 대한의사협회 주도로 중국 장궁야오 중남대 교수가 쓴 저서가 국내에 출간됐다. 환자 치료에 있어 안정성과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전통의학을 국가 의료시스템에서 퇴출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국내 양(洋)의학계는 한의학이 비과학적이고 한의사 개인의 판단에 따라 치료방법이 달라지는 등 표준화돼 있지 않다며 불신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심지어 일부 양의사들은 임상을 통해 입증하지 못한 만큼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등 한의학의 기본 이론은 ‘허구’이자 ‘상상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한의사들은 개화기 이후 받아들인 서양의학도 결국 전통의학인 한의학을 기본 뿌리로 계승·발전시켜 온 것이라고 맞선다. 이들은 현대의학과 전통의학의 동반 육성을 통해 통합의학으로 키워나가야 할 때라고 주장한다. 이같은 주장은 최근 중국이 전통의학에서 영감을 얻어 현대의학적 방법과 원리로 말라리아 약을 개발, 노벨생리상학을 수상하면서 힘을 얻고 있다.
◇ 독자발전한 ‘동의(東醫)’ 현대화 실패로 성장 정체
중국의 가장 오래된 의학서 황제내경(黃帝內經)을 보면 “폄석(貶石)침술이 동방에서 전래하다”라는 구절이 있다. 폄석침술은 석침(石針)이라고 부르는 돌조각을 이용해 피부의 표면을 찔려 외과적 치료를 했던 초기 형태의 한방치료다. 이같은 기록 등을 토대로 한의학계에서는 고조선 시대부터 우리나라에 돌침술과 뼈침술이 발달했던 것으로 추정한다.
우리나라는 중의학의 이론적 배경과 기술을 흡수하면서 한의학을 독자적인 의술로 발전시켜 왔다. 허준은 동의보감에서 “우리나라는 동쪽에 치우쳐 있지만 의학과 약의 도(道)가 끊이지 않았으니, 우리나라의 의학은 ‘동의(東醫)’라고 할 수 있다”고 서술했다.
그러나 2000여년이 흐른 현재 국내 한의학의 위상은 양의학에 밀려 취약하기만 하다. 중의학은 서양의학의 문물을 흡수·발전시켜 세계전통의약시장을 호령하고 있지만, 한의학은 현대화에 실패, 변방으로 밀려난지 오래다. 한의학계에서는 정부 정책이 양의학 위주로 편제돼 있을 뿐 아니라 현행 의료법이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을 제한, 한의학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