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나원식 기자
2014.10.06 06:00:00
[이데일리 특별취재팀] 외국인 구성원이 늘면서 한국 사회가 점차 ‘다문화화(化)’ 되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대응은 아직 걸음마 단계 수준이다.
외국인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의식 조사는 지난 2012년에서야 처음 이뤄졌다. 여성가족부가 실시한 국민의 다문화 수용성 조사가 그것이다. 이 조사는 국가공인 통계로 활용된다. 그 외에 이민 정책이나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경우는 각 부처가 필요에 따라 간헐적으로 해왔을 뿐이다.
여성가족부의 2012년 당시 조사 결과 응답자의 64%가 다양한 종교ㆍ인종ㆍ문화가 공존하는 데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대답은 36%에 그쳤는데, 이는 국제지표상 유럽 18개국의 찬성 비율인 74%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다. 일반 국민의 다문화수용성 지수는 51.17점로 나왔다. 정부는 당시 이 같은 결과에 부랴부랴 관련 정책에 900억원 이상을 투입하기로 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여성가족부는 이후 지난해에는 다문화 이해교육의 주 대상이 될 청소년들에 대한 다문화 수용성 조사를 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지수는 60.12점으로, 일반국민보다 8.95점 높게 나왔다. 여성가족부는 앞으로 청소년 다문화수용성 조사를 일반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와 통합해 3년 주기로 실시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더욱 심도 있고 다양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문화 구성원들에 대한 인식뿐 아니라 국민들이 직접적으로 염려하고 있는 외국인들의 이민에 대한 인식 등을 묻거나, 정부의 이민정책에 대한 조사를 통해 향후 정책에 반영하는 식이다.
특히 ‘다문화 수용성 조사’가 국가공인 통계이니만큼 대폭 보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혜순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마치 다문화 수용성이 낮은 사람들은 나쁘고, 이들을 계몽해야 하는 대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며 “유럽연합에서 실시하는 조사의 경우 인식이나 태도보다는 객관적인 내용을 묻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