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연체율 치솟는 2금융권, 부실자산 처리 서둘러야

by논설 위원
2024.06.28 05:00:00

2금융권의 자산 건전성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2금융권의 기업대출 연체율이 올 1분기 말 현재 5.96%로 은행권(0.48%)의 12배를 넘었다. 지난해 3분기 말(4.23%)과 비교하면 6개월 만에 1.73%포인트나 높아졌다.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부동산PF(프로젝트 파이낸싱)가 무더기로 부실화하고 있으나 매·상각 등 부실자산의 처리가 부진하기 때문이다.

부동산PF 부실화의 직격탄을 맞은 2금융권 중에서도 저축은행 상황은 특히 심각하다. 저축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2021년만 해도 2.5%로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었으나 2022년 춘천 레고랜드 부도 사태 이후 급속히 악화하고 있다. 연체율이 2022년 말 3.4%, 2023년 말 6.6%에 이어 올 1분기 말에는 8.8%까지 치솟았다. 사실상 회수가 어려워 부실채권(NPL)으로 분류되는 고정이하 여신 비율이 9.66%나 되고 이 중 기업여신만 따지면 13.32%에 달하고 있다. 상호금융과 일부 증권사들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2금융권 건전성 악화의 주범은 부동산 금융이다. 코로나19 직후 저금리 시대에 우후죽순처럼 번진 부동산 개발 붐을 타고 2금융권 금융사들은 너도나도 앞다퉈 대규모 부동산PF 사업에 돈을 댔다. 부동산PF는 부동산 개발의 사업성을 담보로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기법으로 고수익을 누릴 수 있는 반면 경기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금융사들은 고수익에 현혹돼 안정성을 면밀히 따져보지도 않고 대출하거나 보증을 섰다. 그 결과는 대규모 연체로 이어져 올 1분기 말 현재 부동산PF 연체율이 증권사가 17.6%에 달하고 저축은행과 여신전문금융사들도 각각 11.3%와 5.3%에 이르고 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손실흡수 능력이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건전성이 계속 악화되고 수익성마저 나빠지고 있어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불안 요인을 해소하려면 부실자산을 팔아넘기거나 상각 처리하고 대규모 충당금을 쌓게 해야 한다. 금융당국은 PF 사업장의 사업성 평가를 토대로 옥석을 가리고 부실 사업장을 신속히 정리하는 작업을 서둘러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