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강경록 기자
2015.04.14 06:20:00
[이데일리 강경록 기자] ‘관광주간’이 내달 1일부터 시작된다. 관광주간은 이번 정부의 대표적인 관광활성화 정책 중 하나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훨씬 풍성하게 마련했다. 무엇보다 사흘이 늘어나 14일간 진행된다. 전국의 초·중·고교도 최대 8일까지 자율휴업을 하거나 단기방학에 들어가고, 무려 89%인 1만 199개의 학교가 동참한다. 같은 기간에 학부모들도 눈치 보지 않고 휴가를 갈 수 있도록 ‘휴가가기 캠페인’도 벌인다.
관광주간은 이렇게 해서라도 국내 휴가문화를 정착시키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다. 정부가 이토록 휴가를 장려하는 건 좀체 살아나지 않는 내수경기 때문이다. 사실 눈물겨운 캠페인이다. 휴가라도 가서 제발 돈 좀 써달라는 하소연인 것이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관광주간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둘지는 예상하기 어렵다. 관광 관련 기업은 진짜 관광성수기인 ‘그때’에 대폭 할인을 해야 하고, 일반기업은 정기휴가 사용을 독려하며 정부정책에 협조하는 제스처를 취해야 한다. 지자체는 정작 자기주민보다 타지자체 주민 모시기에 공을 들여야 하고 직장인은 자녀의 휴일에 맞춰 억지휴가를 내야 할 판이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관광주간이 미봉책에 불과한 것은 장기휴일제 도입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이웃 일본이나 중국에는 골든위크나 춘제 등 장기휴일제가 있다. 일본의 골든위크는 5월 초 연휴를 집중배치해 최장 7~10일간 휴가를 주는 제도다. 중국에는 춘제(음력 1월 1일)와 노동절(5월 1일부터), 국경절(10월 1일)을 전후해 세 번의 황금연휴가 있다. 골든위크가 일본의 내수경기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엄청나다. 이 시기 항공·철도 등의 이용률은 평소 주말보다 20% 이상 오른다. 중국의 최대 명절인 춘제 때 국내 여행 수요와 소비재 판매액은 각각 연간 총량의 20%, 10%를 차지할 정도다.
관광주간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확고하다면 장기휴일제 도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유럽에 한 달짜리 여름휴가가 있다는 아름다운 이야기는 일단 동화로 접어두자. 있는 휴가도 못 쓰고 또 안 쓰는 게 대한민국 직장인이다. 차라리 빨간 날로 정해 강제휴가라도 주는 게 낫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