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nd SRE][Cover]③"사고 팔고 붙이고"…코로나 이후 늘어난 M&A

by박정수 기자
2021.11.18 06:27:34

올해 상반기 M&A 19.9조…코로나 이후 증가
SK하이닉스의 인텔 NAND 사업부 인수 기대 가장 커
중흥그룹의 대우건설 지분 인수 우려 큰 M&A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기업의 흥망성쇠를 결정지을 수 있는 인수합병(M&A)이 코로나19 발생 이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가 팬데믹으로 번지며 굵직한 M&A가 눈에 띈다. 또 대기업 그룹 차원에서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기업분할과 합병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촉발된 언택트(비대면) 시대에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들의 M&A 욕구를 자극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나 코로나19 이후 변화하는 사업 구조와 체질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32회 신용평가 전문가 설문(SRE:Survey of credit Ratings by Edaily)에서 코로나19 이후 국내 기업들의 인수합병과 기업분할(매각)이 많이 늘어났다고 보는지에 대한 5점 척도(매우 그렇다 5점~전혀 그렇지 않다 1점) 질문에서 평균 3.90점을 기록했다.

담당업무별로 보면 크레딧 애널리스트(CA)는 평균보다 높은 4.12점으로 코로나19 이후 국내 기업들의 인수합병과 기업분할이 늘어났다고 보는 응답자가 많았다.

비CA는 3.79점으로 상대적으로 평균보다는 낮았다. 여기서 채권매니저(MG)의 경우 3.77점을 기록했고, 연기금 담당자들과 금융투자업계 리스크관리 담당자, 심사부 담당자 등이 속한 기타 응답자들은 MG보다는 높은 3.83점으로 집계됐다.

지난 10년간 M&A 시장을 보면 2011년 30조3000억원에서 2012~2013년 각각 19조7000억원, 18조6000억원으로 감소세를 보였고 수주산업의 구조조정이 한창이었던 2015년 규모 상으로 최대인 약 56조3000억원 규모의 M&A가 진행됐다.

이후 2016년(26조3000억원)에 주춤했던 M&A 시장은 경기 개선과 기업 현금흐름 확대, 신성장 동력에 대한 고민을 함께하면서 2017년 재차 53조8000억원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2018~2019년 각각 43조6000억원, 30조원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에 다시 36조1000억원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올해 상반기로 보면 국내 M&A 거래액은 19조9000억원으로 올해도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SRE 자문위원은 “코로나19를 계기로 기업들이 지속 가능한 경영에 대한 니즈가 많아졌다”며 “즉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지속할 수 있는 비즈니스와 지속할 수 없는 비즈니스를 구분해 합병과 분할을 통해 사업구조 개편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기업들의 인수합병과 기업분할이 늘어났다고 보는 이유에 대한 SRE 설문(2개 선택)에서도 ‘사업구조 재편을 위한 빅딜 증가’가 총 134표(87.0%)를 받아 가장 높았다. 담당업무별로 봐도 CA들도 48표(92.3%)를 줬고, 비CA도 86표(84.3%)로 가장 많았다.

이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대응을 위한 신사업 진출’이 73표를 받아(47.4%) 뒤를 이었다. 이외 ‘언택트 산업 확산에 따른 스타트업 증가’ 60표(39.0%), ‘증권시장 활황에 따른 기업가치 향상 목적’ 36표(23.4%) 순이었다.

SRE 자문위원은 “2017년 이전 M&A는 수직적, 수평적 방식에 집중했다면, 2017년 이후 M&A는 다각적 M&A로 형태가 전환되는 모습이다”며 “ 기업들의 투자 방식도 자본적지출(Capex)에서 지분투자로 전환됐던 시점과 유사하다”고 말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증시는 역사상 최고 수준까지 반등했다”며 “주가 상승의 기회를 틈타 회사 지분을 내놓으려는 기업들이 여러 형태로 M&A 시장에 문을 두드리고 있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유망한 기업들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했다.

32회 SRE에서 가장 기대되는 M&A로는 2020년 11월에 이뤄진 SK하이닉스(000660)의 인텔 낸드(NAND) 사업부 인수가 꼽혔다. 전체 154명 가운데 65명이 투표해 42.2%에 달했다. 담당업무별로 비CA가 43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 가운데 채권매니저가 26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CA는 52명 가운데 절반이 조금 안 되는 22명이 SK하이닉스의 인텔 NAND 사업부 인수에 표를 던졌다.

SK하이닉스 인텔 NAND 사업부 인수는 90억달러(약 10조3000억원) 규모 M&A로 보유 현금과 연간 현금 흐름과 더불어 향후 차입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2021년 말과 2025년 3월에 각각 70억달러와 20억달러 지급 예정이다.



SRE 자문위원은 “SK하이닉스는 디램 대비 경쟁력이 열위한 낸드 부문의 사업역량을 강화하고자 했다”며 “최근 10년래 손에 꼽히는 빅딜”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수자금 규모는 10조원에 육박하지만 중기적으로 재무부담은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전했다.

두번째로 꼽힌 기대되는 M&A는 2021년 6월에 있었던 이마트(139480)의 이베이코리아 인수다. 154명 가운데 20.1%에 해당하는 31명이 이마트의 이베이코리아 인수를 꼽았다. 담당자별로 보면 CA 9명, 비CA 22명이 투표했다.

이마트의 이베이코리아 인수금액은 3조4000억원으로 보유현금과 자산유동화, 차입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이마트는 스타벅스코리아(4743억원) 인수 등 다수의 M&A를 진행했다.

SRE 자문위원은 “급변하는 소매유통시장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시장점유율 우위 확보라는 점에는 의의가 있으나 지속적으로 경쟁우위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단정하기 어렵다”며 “다만 이마트는 아직 신용등급이 변동할 수준의 커다란 신용위험 변화는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외 기대되는 M&A로 SK(034730)에코플랜트의 폐기물처리업체 8곳 인수(1조6000억)(13명, 8.4%), SK E&S와 SK의 미국 플러그파워 지분 인수(1조6000억)(10명, 6.5%)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우려가 가장 큰 M&A로는 중흥그룹의 대우건설(047040) 지분 인수가 꼽혔다. 총 154명 설문 참여자 가운데 55.8%에 달하는 86명이 우려가 크다고 투표했다. 담당업무별로 보면 CA가 52명 가운데 절반에 넘는 30명이 투표했고 비CA도 102명 가운데 56명이 답했다.

중흥그룹은 KDBI가 내놓은 대우건설 주식 2억1093만1209주(50.75%)를 인수하고, 입찰 가격은 2조1000억원으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흥그룹은 지난달 말 가격조정 한도를 준수해 초기 입찰가격의 2% 안팎의 할인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SRE 자문위원은 “작은 회사가 갑자기 큰 회사 삼키려고 하다 보니 시장 참여자들이 우려를 표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가장 기대되는 M&A 2위로 꼽혔던 이마트의 이베이코리아 인수가 우려가 가장 큰 M&A에도 꼽혔다. 전체 154명 가운데 15.6%에 해당하는 24명이 투표했다. 또 기대되는 M&A 1위였던 SK하이닉스의 인텔 NAND 사업부 인수가 3위(15명, 9.7%)로 꼽혔다.

SRE 자문위원은 “이베이코리아 인수는 시장에서 너무 비싸게 주고 샀다는 평가들이 많다”며 “SK하이닉스의 경우 기대와 우려가 함께 공존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주요 기업의 인수합병에 대한 신평사들의 등급 액션이 적절했다고 보는지에 대한 5점 척도(매우 적절했다 5점~전혀 적절하지 않다 1점) 질문에서 SK하이닉스가 평군 3.16점으로 가장 낮게 나왔다. 담당업무별로 보면 CA가 2.94점으로 평균치를 밑도는 점수를 줬다.

앞서 작년 11월 NICE신용평가는 SK하이닉스에 대해 인텔의 NAND 사업부 인수로 인한 인수자금 조달에 따른 재무부담 확대, 낸드 비중 확대로 향후 수익성 측면의 안정성 저하 등을 고려해 등급전망을 기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후 NICE신용평가는 올해 6월 우호적인 업황에 따른 잉여현금흐름 창출 확대로 인텔 NAND 사업부 인수로 인한 재무 부담을 일정부분 충당 가능할 전망인 점, 낸드 부문의 사업경쟁력 강화 등으로 회사 전체 사업위험이 축소된 점 등을 이유로 등급 전망을 다시 ‘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SRE 자문위원은 “크레딧 시장의 인수 능력은 일단 승자의 저주로 돌아온다는 그런 인식이 있는데 크레딧도 포워드-룩킹 방식(미래관점)을 해야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