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준기 기자
2024.02.05 06:01:00
[이데일리 이준기 산업에디터] 이번 주 포스코그룹 새 회장 후보가 판가름난다. 파이널리스트 6인의 면면을 보면 CEO후보추천위의 고심이 얼마나 깊었는지 알 수 있다. 겉으론 내부 출신과 외부 후보를 3:3으로 균형을 맞췄지만 3연임을 노리던 최정우 회장을 탈락시킨 데 이어 유력 후보군으로 분류됐던 김학동 부회장·정탁 포스코인터내셔날 부회장 등 사내이사들까지 모두 제외시키는 강수를 뒀다. 포스코홀딩스 사외이사를 겸하는 7명의 후보추천위원들과 사내이사들까지 이른바 ‘호화 해외 이사회’ 논란으로 사법리스크에 휘말린 만큼 밀착 비판을 피하는 동시에 외풍 개입 차단·절차의 공정성에 최대한 부응하려 고심에 고심을 거듭한 흔적이 엿보인다.
사실 후추위원들 속은 속이 아닐 것이다. 작년부터 유력후보들의 용산 줄대기설 및 실세 친분설, 전직 장관 투입설이 널리 퍼진 가운데 본인들마저 업무상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입건된 상태여서 결정 하나하나가 의심의 눈초리를 피하기 어렵다. 개중에 ‘사퇴하겠다’는 후추위원이 왜 없었겠는가. 앞으로 더 험한 꼴을 볼 수도 있다. 철강에 정통한 내부 출신 인사를 후보로 내세우면 ‘순혈주의’ ‘밀착’ 비판을, 반대로 외부 인사를 앉힐 경우 ‘전문성 부족’ ‘외풍 의혹’ 논란에 또 휘말릴 게 뻔하다.
그럼에도 ‘차기 회장 선임을 완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큰 건 심각한 외부도전을 받는 포스코의 현 처지를 고려해야 한다는 소위 현실론 때문일 터다. 포스코는 철강값 하락 등으로 작년 매출·영업익이 전년 대비 9.0%·27.2%씩 줄었다. 신수종 부문인 2차전지 소재 사업도 경쟁 심화 속 수익성 악화가 현실화하고 있다. 포스코가 2차전지 소재뿐 아니라 그 원료인 광물, 그리고 수소 에너지 사업을 총망라한 총 121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작년 7월 발표한 배경이다. 포스코와 철강산업을 넘어 산업계 전반의 미래를 좌우할 초거대 미션이다.
만약 포스코에 경영공백이 생길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 몫이 될 게 자명하다. 포스코와 마찬가지로 소유 분산 기업인 KT가 지난해 겪은 8개월의 경영공백 여파와는 차원이 다를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와중 밸류체인 전 영역에서 전쟁이나 다름없는 혈투가 벌어지는 지금, 해외투자 등의 의사결정이 조금이라도 늦춰진다면 글로벌 주도권 다툼에서 도태될 수 있다. 재계 관계자는 “내수 사업을 영위하는 KT의 8개월 경영공백은 포스코에는 8년과 같다”고 했다. 기간산업을 대표하는 포스코의 리더십 난맥이 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은 그만큼 지대하다.
그나마 다행인 건 파이널리스트 6인 죄다 모자람 없는 인물로 채워졌다는 점이다. 포스코 전·현직 출신들은 지금의 재계 5위 포스코를 만드는 데 일조한 자타공인 최강 철강맨들이고 외부 후보들도 각자의 영역에서 이미 역량을 검증받은 인물들이다. 후추위가 좌고우면 말고 회사 미래를 맡길 최고 적임자를 고르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철강 이해도가 적은 회장은 철강 담당 부회장을, 2차전지·에너지에 다소 미흡한 회장은 신기술 담당 부회장을 각각 두고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도 후추위는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