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천승현 기자
2015.04.15 03:00:00
2011년 상위 20개사 2014년 처방실적 비교
국내사 20곳 11%↓..다국적사 20곳 5%↑
특허만료 오리지널과 복제약 동일가로 복제약 처방 기피
다국적사 제품 판매 대행으로 오리지널 쏠림 현상 가중
[이데일리 천승현 기자] 지난 3년간 국내제약사의 의약품 처방실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반면 다국적제약사는 처방실적이 증가하며 반사이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강력한 리베이트 규제로 영업활동이 위축된 상황에서 2012년 약가인하제도 개편으로 복제약(제네릭) 제품이 가격 경쟁력을 상실하면서 제네릭 처방이 줄어든 탓으로 분석된다. 국내사들이 다국적제약사 제품 판매 대행에 집중하면서 오리지널 의약품의 매출확대를 부추겼다는 비판도 나온다.
14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국회에 제출한 건강보험 의약품 청구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1년 국내사 상위 20곳의 처방실적은 3년만에 4조9266억원에서 4조3916억원으로 10.9% 줄었다. 반대로 다국적제약사 상위 20곳의 처방실적은 같은 기간 3조6557억원에서 3조8222억원으로 4.6% 증가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2년 4월 국민들이 부담하는 약품비 절감을 위해 건강보험 의약품의 가격을 평균 14% 일괄 인하했다. 당시 건강보험 적용을 받는 의약품 1만3814개 중 6506개 품목이 약가가 깎였다.
2011년 국내사 상위 20곳 중 종근당(185750), CJ헬스케어, 녹십자, 보령제약 등 6곳을 제외한 14개사의 처방실적은 줄어들었다. 국내업체 중 처방실적이 가장 많은 대웅제약(069620)은 12.0%, 동아에스티(170900)는 27.4% 각각 쪼그라들었다. 지난 몇 년간 가파른 실적 상승세로 매출 1조원을 돌파한 유한양행(000100)도 처방실적이 13.3% 감소했다.
업계에서는 “통상 노인인구와 만성질환자의 증가로 의약품 사용량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국내제약사들의 집단 처방실적 부진은 극히 이례적인 현상이다”라고 진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