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人]"모든 범죄수사는 사이버수사에서 시작된다"

by이소현 기자
2022.08.11 06:00:00

김재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사이버테러수사대 경감
스마트폰·CCTV 등 디지털 증거 추적, 수사 기본 돼
검경수사권 조정으로 업무 과중…''수사 기피'' 현상
18년간 사이버수사 현장 누벼…"정년까지 뛸 것"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앉은뱅이 수사’라고요? 모든 범죄수사는 디지털 증거 추적부터 시작합니다.”

김재필(53)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사이버테러수사대 경감은 10일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범죄수사의 기초인 ‘사이버수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제 디지털 기기가 없는 세상은 상상할 수 없다. 살인 등 강력사건은 물론이고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와 횡령과 같은 ‘악성 사기범죄’ 등 모든 사건에서 휴대전화·CCTV·블랙박스 등 각종 통신기기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이 모든 수사의 기본으로 자리매김했다.

김재필 경찰청 사이버테러수사대 경감이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사진=이영훈 기자)
경찰관들은 ‘모든 범죄 증거는 현장에 있다’고 말한다. 강력범죄에서 범인의 흔적을 찾기 위해 사건 현장에 직접 가듯 사이버범죄 사건도 마찬가지다. 김 경감은 “사이버수사에서 범죄현장은 곧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이버공간”이라며 “이제 웬만한 기록은 디지털화돼 IP, 로그자료, 전자정보 등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각종 첨단 장비를 이용, 심층 분석해 범인 추적을 위한 단서를 찾는다”고 말했다.

최근 경찰 조직은 위기다. 검경 수사권 조정 이후 업무량이 급증하면서 수사 기피 현상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상반기 기준 수사부서에서 비수사부서로 전출한 인원은 2724명으로 전년동기(2011명) 대비 35.4%(713명) 늘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경찰의 꽃은 수사’,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라는 사명감으로 현장을 누비는 수사관들이 있다. 30년 경찰관 생활 중 수사 경력만 23년인 김 경감도 그렇다. 경장→경사→경위→경감으로 승진하면서 3차례 특진을 거듭, 18년째 ‘사이버수사 베테랑’ 자리를 지키고 있다.



14만 규모 경찰의 입직경로는 다양한데 대학에서 경영학을 공부한 그는 사이버 관련 전공자나 특채가 아니면서도 1991년 순경(의경특채)으로 입직해 사이버수사 전문가로 성장한 점이 눈에 띈다. 현재 경찰청 사이버수사관 33명 중 유일한 순경 출신 팀장이기도 하다. 김 경감은 “아내가 출산하는 날도, 아이들이 자라는 순간에도 함께하지 못할 만큼 ‘워라밸’을 양보했다”면서도 “정년까지 사이버수사관으로서 국민의 ‘일상의 평화’를 지키는 데 일조하고 싶다”고 했다.

김재필 경찰청 사이버테러수사대 경감이 경찰청 사이버수테러수사대 사무실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이영훈 기자)
사이버수사관답게 그의 모든 사고는 범죄로 귀결된다. 김 경감은 “신기술이 사용되는 사이버범죄 특성상 지금 이 순간에도 범죄양상은 변화하고 있다”며 “신기술이 알려지면 ‘신기하다’로 끝나는 게 아니라 ‘어떻게 범죄에 악용될까’로 생각한다”고 했다. △구글이 스트리트뷰 차량을 이용해 무단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한 사건 △주유소와 음식점 등 POS 단말기에 저장된 신용카드 정보를 해킹해 전 세계 36개국에 팔아넘긴 사건 △약 38만명 신용카드 정보와 일부 비밀번호를 해킹해 현금을 인출한 사건 등이 그가 인지수사로 해결한 대표적인 예다.

김 경감은 사이버범죄는 예방 활동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이버공간은 국경도 시간의 개념도 따로 없기에 범죄를 예측하기 어려운 치열한 전쟁터”라며 “최근 인터넷과 연결된 사물인터넷(IoT) 기기 해킹 등 국민 일상생활에 사이버범죄 피해가 깊숙이 침투하고 있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등 스스로 개인정보를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