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한ㆍ중 FTA 가서명, 중기 희망 꽃피워야

by박철근 기자
2015.02.27 03:00:00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지난 2003년부터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문을 두드렸지만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최근 기자와 만난 한 중소기업 대표는 중국 시장진출이 생각보다 어렵다며 고개를 저었다. 꽌시(關係)라는 독특한 문화 탓도 있지만, 자국 기업 제품에 대한 충성도가 강한 중국 시장을 공략하는 데에는 중소기업이 가진 능력으로 한계가 있다는 하소연이었다.

지난 25일 한국과 중국 정부는 지난해 타결한 자유무역협정(FTA)에 가서명하면서 구체적인 협정 내용이 공개됐다. 세계 최대 소비시장인 중국의 진입 문턱이 낮아지는 날도 멀지않은 셈이다. 하지만 중기·벤처업계는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수출 중심의 중소기업들은 새로운 기회를 얻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입장이다. 하지만 내수 중심의 중소기업은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제품과의 경쟁을 앞두고 벌써부터 걱정이 이어지고 있다.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중앙회, 한국벤처협회, 이노비즈협회 등 중소·벤처기업 관련 부처 및 유관 기관·단체들은 앞다퉈 중소·벤처기업들의 중국 진출 지원강화를 올해 주요 추진과제로 꼽고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들 모두 중국이 새로운 기회의 땅이 되고 침체된 중기·벤처업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해법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관련 대책들이 얼마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중국 시장 진출이 유리해진 것이 반드시 성공으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이서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중국 시장진출에만 초점을 맞춰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도 내놓고 있다. 관세철폐로 중국의 저가 제품들이 물밀듯이 들어올 경우 가구·욕실자재용품 등 생활용품과 섬유 및 패션, 가공식품 등 내수형 중소기업들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정부가 국내 중소기업을 수출 중심으로 전환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내수 중심의 중소기업 보호를 위한 정책 마련에도 소홀해서는 안되는 이유다. 중소기업들 스스로도 무엇보다 경쟁력을 최우선으로 확보해야 한다. 감나무 밑에서 감이 떨어지기만을 기다리듯 정부의 정책적 지원만을 바라는 것도 어리석은 행동이다.

정부는 한중 FTA로 내수·수출 중기·벤처기업 모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입체적인 지원정책을 마련하고, 중기·벤처업계도 정부나 유관기관을 적극 활용해 중국 시장에 특화된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