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서 눈여겨볼 종목…원전株 말고 더 있다

by이지현 기자
2022.03.17 06:35:50

대규모 주택 건설 기대감에 건설주 ‘껑충’
빅테크 규제 재검토 언급에 플랫폼도 ‘쑥’
넘어야 할 산 여전 구체화 전엔 리스크 관리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대선 이후 주식시장에도 희비가 오가고 있다. 지난해 연말부터 꾸준히 내림세를 기록하던 빅테크 관련주는 상승 시에는 쑥쑥, 대세 하락 시에는 소폭 내림세를 기록하며 몸값을 높이고 있다. 반면 시장을 이끌어온 대형주들은 힘을 못 쓰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새정부 출범을 앞두고 투자 지형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16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대선 이후 코스피시장은 2번 상승과 3번의 하락을 기록하며 2600선을 지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유가 상승 등의 영향이 컸지만, 종목별로 유의미한 변화가 감지됐다. 대선 수혜 여부가 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윤석열 당선인의 10대 공약 44개 세부분야 중에서도 주식시장과 관련이 큰 주제는 △경기부양 △성장정책 △부동산 △탄소중립(원자력 발전) △금융선진화(주식시장) 등으로 압축된다.

가장 먼저 오른 것은 원전 관련주였다. 대선 공약으로 원전 재개에 힘이 실리며 후보들이 본격활동하기 시작한 11월부터 주가가 뜀뛰기 시작했고 선거 이후에도 추가 상승하며 대선 수혜주로서 입지를 공고히 했다. 특히 원전 건설 시 1기당 영업이익이 200억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한전기술(052690)은 선거 이후 9만원대를 재돌파하며 대표 수혜주로 관심을 끌었다.

박세라 신영증권 연구원은 “최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에너지 공급 불안정으로 전세계적으로 원전 확대 흐름이 포착되고 있다”며 “SMR(소형모듈원전) 적극 도입 역시 언급한 바 있어, 원전 관련 건설사들의 수혜가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이번 대선정국의 핵심 이슈였던 부동산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윤 당선자는 5년간 250만가구 이상의 공급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에 건설 관련주들도 상승에 시동을 건 상태다. 건설 대장주 현대건설(000720)은 선거 바로 다음날 8%대 상승한 이후 종가 기준으로 5만원대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GS건설(006360)도 선거 이후 3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4만7000원대에서 유지하고 있다.



최유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재건축·재개발 활성화의 경우 대형사에 긍정적”이라며 “택지 지정 개발보다 실적에 반영되는 속도가 빠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주택 공급 증가는 B2B 건자재 업체에 수혜로 작용하고 주택 거래량 증가는 B2C(가구, 인테리어) 건자재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주식양도세 폐지와 거래세 완화는 주식의 투자 매력을 높이는 요인이 될 거로 전망되고 있다. 장기투자자 유도에 긍정적이기 때문이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50조원 규모의 자영업자·소상공인 손실보상 재정투입에 따른 경기부양이 예상되고 있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신임 대통령 취임일이 신규 확진자 정점으로 예상되는 3월 하순 이후인 5월 10일”이라며 “이 시기에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의 코로나19 피해 보상이 이뤄진다면 보복소비로 인해 내수가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인터넷 플랫폼 산업에 미칠 영향도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당선 전 인터뷰를 통해 문재인 정부의 플랫폼 규제 정책을 원점에서 검토하겠다고 밝힌 부분이 기대를 키우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11월부터 꾸준히 내림세를 그리며 8만원대까지 내려앉았던 카카오(035720)는 대선 후 10만원대 진입에 성공했다. 네이버도 오랜만에 급등하며 시장의 관심을 끌었다.

김진우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의 디지털 패권 국가 등극을 목표로 하고 있어 AI, 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개발처인 국내 대형 인터넷 기업들에 대한 규제 강도 크지 않을 것”이라며 “규제 완화로 경쟁국 대비 우호적인 산업환경 조명받으며 글로벌 경쟁사 대비 높은 멀티플 유지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변수는 여전하다는 지적도 있다. 여소야대 국면에서 법개정이 필요한 공약은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또 6월 지방선거도 예정돼 곧바로 공약 실현은 어려울 수 있는 상황이다. 장기화하고 있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상황도 변수다.

강대승 DB금융투자 연구원은 “국내외 호나경을 고려할 때 강한 정책 모멘텀이 나타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책 수혜가 구체화하기 전까지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