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힘 합치고 날 세우고'
by김용운 기자
2016.02.01 06:15:00
한일 ''조선통신사'' 공동등재 의견 일치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등재에는 대립
| 지난해 8월 일본 쓰시마섬에서 열린 ‘조선통신사’ 쓰시마 행렬을 재현한 행사 모습. 한·일간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공동등재 추진사업의 일환으로 열렸다(사진=부산문화재단). |
|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201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와 관련해 최근 한국과 일본 사이에는 말 그대로 ‘가깝고도 먼 분위기’가 형성돼 눈길을 끈다. 한국과 일본이 세계기록유산 공동등재를 위해 긴밀한 협조를 해가는 한편, 다른 한편에선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둘러싸고 한·일 간의 분위기가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부산문화재단과 일본의 조선통신사 연지연락협의회는 지난달 29일 일본 쓰시마섬(대마도)에서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한·일 공동등재’ 신청서 조인식을 갖고 한국 63건 124점, 일본 48건 209점 등 총 111건 333점의 조선통신사 기록물에 대한 공동등재 등록신청을 공식화했다.
‘조선통신사’는 임진왜란 이후 1607년부터 1811년까지 조선에서 일본으로 ‘신의를 나눈다’는 의미로 파견한 사절이다. 당시 정사·부사·종사관 등 400~500명에 이르는 대규모로 구성했다. 한양에서 출발해 부산을 거쳐 일본의 대마도, 시모노세키 등을 지나 에도까지 가는 데 반년 이상 걸렸다. 이 과정에서 부산은 통신사 일행의 접대와 특산물 마련, 해신제 준비 등 통신사 파견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부산문화재단 관계자는 “2012년 5월부터 일본 측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공동등재를 제안한 뒤 민간협의 등을 거쳐 업무협의와 학술회의 등을 계속해왔다”며 “조선통신사가 한·일 우호관계의 상징이었던 만큼 일본 측에서도 상당히 적극적으로 협조했다”고 말했다. 오는 3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신청할 기록물에는 ‘조선통신사’외에 ‘조선왕실의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기록물’ 등을 포함했다.
반면 한국이 시도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한·일 양국의 ‘뜨거운 감자’가 됐다. 한국정부는 2015년부터 여가부 차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해왔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나눔의집 등 민간단체가 산발적으로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한 과정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여가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을 앞세워 등재를 준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현재는 지난해 12월 일본과 ‘위안부 문제’에 합의를 도출한 이후 정부가 아닌 민간차원의 등재를 추진하고 있는 상태.
하지만 일본은 2015년 중국이 난징대학살과 자국 내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신청한 것에 공개적으로 반발한 만큼 한국의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에 등재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다. 한·일정부의 ‘위안부 문제’ 합의 과정에서도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쟁점이 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관계자는 “세계기록유산 단독등재는 국가별로 2개씩만 신청해야 하는 쿼터가 있지만 민간에서 신청하는 공동등재는 국가별 쿼터가 없어 조선통신사 등의 공동등재 신청이 가능하다”며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등재 역시 민간차원에서 중국과 필리핀 등 피해국가의 민간단체와 공동등재 신청을 하면 오히려 등재 확률이 더 높아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 일제 당시 일본군에 끌려간 국내 위안부들의 모습(사진=일본군 위안브 피해자 e역사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