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논설 위원
2024.01.19 05:00:00
코로나19가 수그러들면서 내국인의 해외여행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일본과 동남아 등의 유명 관광지마다 한국인 관광객들이 넘쳐나고 있지만 국내 대표적 관광지인 제주도나 강원도는 썰렁하다. 한국관광공사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사이에 2026만명이 해외여행을 떠난 반면 국내로 들어온 관광객은 999만명에 불과했다.
그 결과 여행수지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까지 적자폭이 113억달러에 달했다. 적자폭이 급증하는 것은 내국인과 외국인 모두 한국 여행을 기피하기 때문이다.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계기로 중단됐던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이 지난해 8월 재개됐지만 기대했던 ‘유커’(중국인 단체관광객)들은 돌아오지 않고 있다. 한일간의 관광 역조도 심각하다. 일본정부관광국(JNTO)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을 여행한 한국인 관광객 수는 696만명으로 한국을 찾은 일본인 관광객(250만명 추정)의 2.8배나 됐다.
K컬처가 세계인들로부터 찬사를 받고 있지만 K관광은 그렇지 못하다. 숙박비나 음식값 등 관광지 물가가 턱없이 비싼 반면 만족도 면에서는 특별한 매력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일본 여행을 다녀온 사람들 사이에서는 “제주 여행 갈 돈이면 일본 여행을 하고도 남는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이 주요국 관광산업 경쟁력을 평가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종합 평가에서 15위(2022년)를 기록했지만 가격 경쟁력에서는 80위에 그쳤다.
정부와 관광업계가 2023~2024년을 ‘한국방문의 해’로 정하고 캠페인을 벌이고 있지만 외국 관광객들의 한국 여행 기피는 여전하다. 여기에는 일부 악덕 상인들의 바가지 상혼도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엊그제 강원도 홍천군의 한 축제장에서는 순대 한 접시에 2만원을 받았고, 지난해 6월 경북 영양군에서는 옛날과자 한 봉지에 7만원을 받아 논란을 빚기도 했다. 이런 사례는 전국의 지역 축제장은 물론이고 여름 휴가철 피서지마다 되풀이되고 있다. 바가지 요금은 지역축제의 방문객을 내쫓는 훼방꾼이며 크게 보면 한국 관광산업의 발목을 잡는 걸림돌이다. 한국 관광을 살리기 위해서는 바가지 상혼부터 추방하는 일이 선결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