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현아 기자
2016.10.07 05:30:39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스마트시티는 기획·설계, 친환경 인프라, 정보통신기술(ICT)가 결합된 4차 산업혁명의 융복합 상품이다. 특히 전문가들은 스마트시티는 가족의 공간인 스마트홈과 조금 확장된 스마트빌딩에서 시작돼 사회공간의 통합으로 확대되고, 궁극적으로는 국가나 세계 차원의 에너지관리와 통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선진국은 기후변화 대응 및 도심 재생 차원에서, 개도국은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교통이나 범죄 또는 수질관리 같은 문제 해결 솔루션으로 스마트시티에 주목한다. 시장분석 전문기관인 마켓샌드마켓츠(Marketsandmarkets, ‘15)에 따르면 스마트시티 전세계 시장규모는 4000억 달러에서 2019년 1조10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스마트시티가 범 지구적 이슈로 부상하면서 미국, EU, 중국 등이 IBM, 시스코, 슈나이더일렉트릭, 지멘스 등 자국 기업들과 함께 수출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도시역사와 앞선 ICT기술이 스마트시티 수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 도시발전의 역사는 1960년대부터 산업화가 본격화되면서 30~40년간 급속도로 확산돼 저개발국가와 상황이 비슷하다. 200년이상 점차 다운타운과 외곽 전원도시로 발전한 외국과 다른 것이다.
또 우리나라는 1980년대 초반부터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해 반도체, 국산전전자교환기(TDX) 등에서 성공했으며, 특히 아파트 위주의 주거환경으로 전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망(초고속인터넷) 인프라가 구축되는 등 인프라 연계 분야도 앞서 있다. 유럽이나 미국은 주로 임대주택 모델인데 반해, 우리의 핵심 주거 인프라는 아파트인 것이다.
조대연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스마트시티 국제협력단장은 “선진국은 다운타운이 슬럼화되고 여유 있는 사람은 외곽에 전원도시를 만드는 컨셉이나 우리는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몰리자 지가상승 문제가 나와 서울 주변에 분당, 평촌,일산을 만드는 등 도시 빈민 문제에 직면한 저개발국과 상황이 비슷하다”고 말했다. 이어 조 단장은 “다행히 우리나라는 도시개발에 있어 계획성이 상당히 높았고, 앞선 ICT로 새로운 기술을 런칭하고 받아들이는데 아무 문제가 없는 스마트한 컨슈머들도 있다”고 부연했다.
이런 강점을 활용해 우리나라는 국토부(도시건설), 미래부(정보통신), 산업부(에너지)가 힘을 모아 도시 내 개별 기술간 연계와 통합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뛰고 있다.
국토부를 중심으로 미래부, 산업부사 참가하는 ‘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 총괄조정위원회(조정위)’를 구성한 것이다. 이는 이미 구성된‘K-Smart City 수출추진단(단장 국토부 1차관)’ 산하 분과위원회로 운영된다.
이재형 미래부 신산업융합과장은 “미래부는 그간 부산시, 대구시, 고양시를 IoT융·복합 시범 단지로 조성했는데 이번에 국가 전략 프로젝트가 되면서 도시 차원의 검증도 훨씬 잘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한국은 전자부품연구원을 통해 미국(NIST), 유럽(EMEA, 텔레포니카) 등과 글로벌 스마트시티 프레임워크(IES City Framework)를 공동개발해서 2017년 백서 형태로 발간하고, 미국 NIST가 주도하는 신기술 활용 도시문제 해결 프로젝트인 GCTC에도 부산과 대구, 서울, 수원 등이 참여했다”면서 “2021년까지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글로벌 10대 기업 진입과 스마트업 100개 육성하고, 도시개발 분야 해외 수주 비중도 현재 10%에서 3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우려도 나온다. 도시라는 것이 각 나라의 문화와 특성을 잘 반영해야 하는데 실적 중심으로 가다보면 후유증이 나타날 것이라는 점이다. 특히 압축성장에 길들여진 우리 문화나 사고가 스마트시티 추진 과정에서 조화를 이루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수출 대상국이나 도시 관계자들과 충분한 대화를 통해 그 나라의 특성을 설계단계부터 잘 반영하고 문화적인 측면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