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기덕 기자
2016.06.27 06:30:00
전면 무상보육으로 정부 보육예산 급증.올해 10.5조 달해
내달 시행되는 맞춤형 보육 예산줄이기 ‘꼼수’ 지적
“이용시간 부모가 선택하는 등 수정된 보편복지 필요”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최근 어린이집에 이어 유치원까지 확산되고 있는 집단 휴원 사태는 과거 제대로 된 준비 없이 시작한 무상보육이 낳은 산물이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이 유권자들의 마음을 잡기 위해 내건 보편적 복지인 무상보육으로 인해 늘어나는 예산부담을 감당하기 힘들어지자 정부는 뒤늦게 선택적 복지로 방향을 틀었다.
이에 무상복지 바람을 타고 우후죽순 늘어났던 어린이집들이 경쟁격화로 가뜩이나 경영난이 심화된 상태에서 정부가 돈줄을 죄자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무상보육이 잘못된 정책으로 전락한 것은 제도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보육 수요를 잘못 예측하는 등 제도 도입이 부실하게 이뤄진 영향이 크다.
우리나라에서 무상보육 개념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은 지난 2009년 이후다. 2009년 0~5세를 아동을 둔 소득하위 50% 가정에 보육료를 전액 지급하던 것을 2011년 소득하위 70%로 완화했다. 이후 2012년부터는 0~2세 아동 전 계층에 무상 보육료 지원을 실시했다.
지난 2012년 9월 당시 보건복지부는 0~2세에 대한 무상보육 전액 지원을 하위 70%로 재조정하고, 전업주부 가구에 대해 보육료 지원을 줄이는 ‘보육지원체계 개편안’을 마련했다. 가구 소득별로 보육료 지원을 차등화하는 게 골자다. 재정악화를 우려해 보완책을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무상보육은 새누리당이 총선때 공약한 민생 예산이자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던 사안이었다. 당시 진영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만 0~2세 보육료와 양육수당을 모든 계층에 지급하는 게 총선 공약이자 당론”이라며 정부 개편안을 무산시켰다.
정부가 무상보육이 실시하자 전업주부들이 대거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기기 시작했다. 정부는 가정에서 만 0~5세 아이를 키우면 월 10만~20만원(만 0세 20만원, 1세 15만원, 2~5세 10만원)의 가정양육수당을 지급하지만,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기게 되면 올해 0세반의 경우 월 82만 5000원의 종일반 보육료를 지급한다.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 전업주부들이 어린이집을 찾기 시작하면서 보육비 지출도 함께 급증했다. 올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보육예산(국비)은 총 5조 2700억원이다. 올해 정부 예산(391조 5000억원)의 1.35% 규모다. 2011년 2조 4800억원에 비해 5년새 두배가 넘게 늘었다. 여기에 지방비(3조 1000억원), 지방교육재정교부금(2조 1000억원)을 합하면 올해 보육예산은 10조 5000억원에 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