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대상 이 작품]'연결'로 돋보인 이야기의 힘

by김보영 기자
2024.05.13 06:00:10

제11회 이데일리 문화대상 심사위원 리뷰
전서아프로젝트하자 연극 ''커튼''
''연결'' 통해 객석으로 질문 확장

[조형준 공연기획자] 지난달 5일부터 14일까지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에서 공연한 ‘전서아프로젝트하자’의 연극 ‘커튼’(전서아 작/연출)은 연결된 이야기들을 담고있다. ‘커튼’은 등장인물인 수정의 욕망을 통제하기도 하고 나정의 잊었던 취향을 다시 살리며 두 이야기가 말랑말랑하게 이어진 것처럼 묘사한다. 하지만 대면하는 당사자들의 시선에선 끝없이 계속된 결핍 및 가난의 시간, ‘인생에 뭔가 있을 것’이란 막연한 기대와 유예의 시간이 물들어 있다. 이 당사자들은 ‘지금 여기’를 사는 여성들이다. 등장하는 여성 4인의 이야기가 서로 교차하고 이어지면서 단단하고 생생하게 밀도를 높여가며 관객들을 무대 속으로 빨아들인다. 심지어 ‘이거 연극이야’ 대놓고 알려 줘도 관객은 이야기에 빨려든다.

연극 ‘커튼’ 공연 사진.(사진=ⓒ이지수)
“좀 더, 조금만 더 기다리면. 그럼 다 괜찮아 질 거라고. 우리는 더 나은 방식으로, 적어도 지금보다는 괜찮은 방식으로 연결될 거라고 믿었던 때가 있었다.” 연극은 이 ‘믿었던 때’와 ‘지금 여기’에 관한 이야기를 4명의 여성을 통해 어떻게 연결할 수 있을까를 묻고 있다. 등장인물은 미정, 수정, 나정, 의정이다. 어느 날 아침 미정은 발톱이 없어졌고 그런데도 아프지 않음을 깨닫는다. 수정은 일요일 저녁마다 커튼에 몸을 말고 아침이 오길 기다린다. 나정은 필수적인 욕망까지 줄이며 매일 이어지는 알바와 진상손님을 견딘다. 의정은 애인을 기다리지 않으려 바에서 홀로 술을 마신다. 어느 금요일 밤, 미정은 갑작스러운 연락으로 4년간 절연했던 고교 동창 수정과 자신의 잃어버린 발톱을 찾아 나선다. 길을 나서는 과정에서 수정과 의정이, 의정과 나정이, 나정이 다시 미정과 중첩되고 연결되는 구조는 이 작품의 창작의도를 보여준다. “고통 속에서 시간은 원을 그리며 돈다”란 극 중 대사와도 그대로 닮아있다. 한 쌍씩 등장하는 이야기에, 각자가 나레이터 역할도 하며 이야기의 연결성을 지원한다. 덕분에 서로 다른 이야기들이 객관적 시점으로 안정감있게 착지할 수 있다. 실제의 이들은 수정이 죽은 후에야 다같이 한자리에 모이지만, 이미 지나간 여러 장면 속에서 스치거나 함께 있었다. 마지막은 죽은 수정이 다시 나타나 미정과 손을 잡고 “나는 좀 촌스럽게 커튼콜에서 다같이 춤추는 거 좋더라”라며 라나 델 레이(Lana Del Rey)의 곡 ‘러브’(Love)에 함께 춤을 추며 막을 내린다. 좋은 연결은 경계를 넘어서도 공감을 받는다.



‘여성 서사’나 ‘연대’ 등의 건조한 말을 굳이 꺼내놓지 않아도 관객은 이 이야기가 건네는 질문을 깊은 공감으로 크게 환대한다. 속마음을 털어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친구들을 오랜만에 만난 느낌이다. 서로 간의 반가움, 정겨움, 안쓰러움과 안타까움 등이 끈끈하고 밀도 높은, 구호가 아닌 진짜 연대감을 만들어낸다. 이 연대감은 “우리는 서로를 구할 수 있을까?”라는 공동의 질문으로 모여, 객석으로, 극장 밖으로 연결돼 확장한다. 이 질문의 연결과 확장의 전 과정이 오랜만에 관객들에게 진한 공감과 감동의 정서를 만끽하게 한다.

이 연극을 통해 이야기의 힘을 믿게 된다. 좋은 이야기는 좋은 배우들을 만난다. 우리 일상의 다양한 모습과 그대로 닮은 등장인물들의 캐릭터와 연기는 객석을 점도 높게 파고든다. 그래서일까? 포스터에는 김섬, 정다함, 정대진, 정은재 배우의 이름이 별자리처럼 박혀있다. 연극 ‘커튼’은 기울어진 커튼과 원을 그리며 도는 시간을 표현한 듯한 테이핑이 무대의 전부인데, 마지막 종이가루가 날릴 때 객석은 황홀함을 이야기할 정도로 제대로 연결된 4명의 여성 이야기가 관객의 상상력과 공감대를 무한 확장한다.

연극 ‘커튼’ 공연 사진.(사진=ⓒ이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