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에 국제기준 도입…시행착오 겪어도 더 안전해졌죠"
by김형욱 기자
2024.04.26 05:00:00
[인터뷰]김기현 대한전기협회 기술기준처장
"60년째 이어져 온 일본식 기준,
2021년 국제표준 맞춰 확 바꿔"
"3년간 현장 정착 노력 이어오며,
안전성 높이고 설비 수출에 도움"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옛날 전기설비 현장에선 국내산 전선과 해외산 전선의 기준 색이 틀리다 보니 여러 번거로움도 많았어요. 그러나 2018년 국제표준(IEC)에 기초한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을 제정하고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보급이 되면서 이 같은 현장의 번거로움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 김기현 대한전기협회 기술기준처장. (사진=전기협회) |
|
김기현 대한전기협회 기술기준처장은 최근 대한전기협회 회관에서 진행한 언론 인터뷰에서 KEC 보급 취지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1962년 전기설비 기술기준을 처음 도입했으나 산업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이전이었기에 일본의 것을 그대로 차용한 수준이었다. 이후 국내 실정에 맞게 이를 개정해 왔으나, 국제 표준과 부합하지 않는 부분이 많아 전면 개정 필요성이 커졌다. 전기협회는 이에 업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와의 긴밀한 협의로 KEC를 만들었고 3년 전 본격적으로 도입했다. 또 기존 전력설비산업계의 ‘바이블’ 격이던 지침서 ‘내선규정’ 역시 ‘KEC 핸드북’으로 대체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라 ‘핸드북’이라고는 하지만 주요 규정과 그 해석을 담고 있는 두툼한 백과사전이다. 전기협회는 지난 3년간 이 핸드북 2500권을 관련 기관·기업에 보급했고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볼 수 있도록 했다. 지금도 하루 평균 1500명꼴로 이를 찾고 있다.
3년 전 새 제도 도입과 이어진 보급 노력으로 현장의 모습도 차츰 바뀌고 있다. 차단기나 전선, 변압기 같은 전기설비 제품 생산기업은 내수용과 수출용을 구분해 만들었는데 이를 일원화할 수 있게 됐다. 또 기준 차이에 따른 현장의 혼선을 줄여나가다 보니 전기설비 안전성도 대폭 개선되고 있다.
쉬운 과정은 아니었다. 도입 첫해는 한해 동안 전기협회에 3000건의 민원이 쏟아졌다. 현장에서 새 규정의 해석을 두고 문의가 쏟아진 것이다. 생산 현장이나 설비 관리·점검 현장에서도 오랜 기간 익숙하던 것을 바꾸려다보니 시행착오도 있었다. 그러나 그만큼 하나씩 바꿔나가는 보람도 크다는 게 김 처장의 설명이다.
그는 “1년 반 정도 지나니까 차츰 현장에서도 적응하고 민원도 많이 줄었다”며 “무엇보다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전기설비 기술기준이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안전에 대한 우려도 상당 부분 해소되고 수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자부심이 있다”고 말했다. 때마침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인공지능(AI) 붐 때문에 한국산 전선, 변압기는 수출 호황을 맞고 있다.
전기협회는 최근 3년 만에 새 핸드북을 발간했다. 지난 3년간 추가로 개정된 규정을 추가하고, 수많은 민원을 토대로 해석이나 사례를 더 풍부하게 담았다는 게 김 처장의 설명이다. 그는 “이제 KEC가 큰 기업이나 신축 전기설비 설계자에게는 보급됐으나 아직 주택 리모델링 같은 현장 최일선에 완전히 적용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이라며 “전국적으로 KEC가 정착하는 데 앞으로 5~10년은 걸릴 것으로 보고 계속 알려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기협회는 같은 취지에서 오는 6월19~21일 강원도 정선 하이원 그랜드호텔에서 전기설비기술기준 워크숍(SETIC 2024)를 열고 전력산업계와 KEC를 비롯한 최신 정보 교류에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