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 머금자 전세계 애주가 손길…소주·막걸리 "풍미 잡아라"

by남궁민관 기자
2024.02.26 07:03:00

과일소주 등 혼합주 수출액 9137만달러 '역대 최고'
주요 수출국 중 중국·말련선 일반 소주보다 잘 팔려
롯데칠성, '순하리' 더해 '새로 과일소주' 채비 나서
서울장수·국순당 거부감 낮춘 '플레이버 막걸리' 전면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애주가들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한 국내 주류업계의 노력이 올해에도 활발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소주와 막걸리 등 우리 술에 아직 익숙하지 않은 이들이 많은 만큼 보다 편안하고 가볍게 음용할 수 있는 다양한 ‘풍미(플레이버)’를 주요 전략 카드로 꺼내는 모양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외국인이 막걸리를 고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5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과일소주를 포함한 기타 리큐어(이하 혼합주)의 수출액은 사상 최대치인 9137만달러로 5년 전인 2019년(2884만달러) 대비 무려 216.8% 급증했다. 대표적인 우리 술로 꼽히는 일반 소주(이하 소주) 수출액은 2019년 8974만달러에서 1억141만달러로 13.0% 증가하는데 그치면서 혼합주가 소주의 수출액을 거의 따라잡는 형국이 됐다.

상위 수출국 중에선 이미 혼합주가 일반 소주를 앞지른 곳도 적지 않다. 지난해 소주 주요 수출국은 △1위 일본(3083만달러) △2위 미국(2355만달러) △3위 중국(1046만달러) △4위 베트남(793만달러) △5위 필리핀(447만달러) △6위 말레이시아(223만달러) 등이었다. 혼합주의 경우 △1위 중국(2655만달러) △2위 미국(2170만달러) △3위 일본(901만달러) △4위 말레이시아(291만달러) △5위 필리핀(280만달러) △6위 베트남(278만달러)으로 중국과 말레이시아는 우리나라 혼합주가 소주보다 강세를 보였다.

지난해 ‘새로’를 앞세워 주류사업 재건에 나선 롯데칠성(005300)음료가 올해 제로슈거 새로 과일소주 출시를 예고한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재 대표 과일소주인 ‘처음처럼 순하리’가 2016년 미국을 시작으로 중국, 베트남, 필리핀 등에서 꾸준히 수출 성과를 올리고 있다. 여기에 새로 과일소주로 제품군을 늘려 해외시장 공략을 더욱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과일소주는 말레이시아와 필리핀, 베트남 등 동남아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어 지난해 인수한 필리핀펩시(PCPPI)의 현지 생산라인을 활용할 가능성도 높다.



한류에 힘입어 2010년 전후 수출 호황을 누렸던 탁주(이하 막걸리) 역시 옛 영광을 되살리기 위해 이른바 ‘플레이버 막걸리’ 라인업 확대 전략을 내세웠다.

막걸리는 2011년 역대 최대 수출액인 5274만달러를 기록했지만 2010년 중반 주요 수출국인 일본 내 혐한 기류 등으로 기세가 꺽이며 줄곧 1200만달러대 수출액에 머물렀다. 다만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유산균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막걸리 수요가 되살아나기 시작했고 지난해 수출액은 1469만달러까지 소폭 회복됐다. 서울장수와 국순당 등 국내 주요 막걸리 수출업체들은 전세계 애주가들이 보다 편하게 막걸리를 접할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에서 다양한 플레이버의 제품을 선보이고 나선 셈이다.

(그래픽= 김정훈 기자)
실제로 서울장수 ‘허니버터아몬드주’는 지난 2022년 9월 출시해 1년여 만에 20만병 판매를 돌파했는데 이중 유커(중국인 단체관광객) 수요가 적지 않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일본과 미국 등 수출에 나선 데 이어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중국 수출용 제품 품목보고를 마치고 이달 중 현지 본격 판매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국순당은 밤, 딸기, 바나나, 복숭아, 청포도 등 다양한 플레이버로 쌀 막걸리 시리즈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지난해 말에는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라인프렌즈’ 캐릭터와 협업을 전개하기도 했다.

막걸리 업계 관계자는 “막걸리 등 우리 술에 대한 세계 애주가들의 인지도는 낮은 편”이라며 “편하고 가볍게 마실 수 있도록 플레이버 다양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