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래의 인더스트리]LG, 휴대폰 철수한 사연은
by강경래 기자
2021.11.13 08:00:05
[이데일리 강경래 기자] 이번 내용은 그동안 다룬 것을 종합하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2021년 상반기를 뜨겁게 달군 이슈 중 하나는 LG전자(066570)의 휴대폰 사업 철수였습니다. 실제로 LG전자는 2021년 7월부로 모든 휴대폰 생산과 함께 유통을 중단했는데요. 한때 세계 3위 자리까지 올랐던 LG전자 휴대폰. 그간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되짚어보고, 앞으로 LG전자가 휴대폰 대신에 주력하게 될 사업은 어떤 것인지도 알아볼까 합니다.
LG전자는 지난 1995년 ‘화통’을 출시하며 휴대폰 사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이후 LG전자는 휴대폰 브랜드 이름을 화통에서 ‘프리웨이’, 그리고 다시 ‘싸이언’으로 바꿉니다. 당시 싸이언은 삼성전자 ‘애니콜’, 현대전자 ‘걸리버’ 등과 함께 국내 휴대폰 시장을 주도했죠.
LG전자 휴대폰을 전 세계 시장에 알리게 된 계기는 2006년 ‘초콜릿폰’이었습니다. 당시 초콜릿폰은 국내외 시장에 1000만대 이상이 팔리면서 ‘대박’을 터뜨렸습니다. 이듬해에는 명품 브랜드 프라다와 협력해 ‘프라다폰’을 출시했는데 이 역시 초콜릿폰 못지않은 인기를 누렸습니다. 이후에도 ‘뷰티폰’, ‘롤리팝폰’ 등이 잇달아 흥행하면서 당시 LG전자는 노키아, 삼성전자에 이어 전 세계 휴대폰 시장 3위 자리에 올랐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인기가 오히려 화근이 됐습니다. 미국 애플이 지난 2007년 아이폰을 처음 출시하며 스마트폰 시대를 활짝 열었죠. 깜짝 놀란 삼성전자 역시 이듬해 스마트폰 브랜드 ‘옴니아’를 출시하며 반격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LG전자는 곧바로 스마트폰 분야에 뛰어들지 않았습니다. 당시 LG전자 컨설팅을 맡았던 맥킨지가 ‘스마트폰은 찻잔 속 태풍에 그칠 것’이란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냈기 때문이었습니다. 초콜릿폰, 롤리팝폰 등 인기가 이어졌고, LG전자의 휴대폰 시장 점유율 역시 여전히 높았습니다. 심지어 LG전자는 2009년 ‘뉴초콜릿폰’, 2010년 ‘롤리팝2’ 등 스마트폰이 아닌 일반폰(피처폰)을 출시하기도 했죠.
이후 스마트폰 시장이 예상보다 빠르게 커가는 것을 본 LG전자는 뒤늦게 2010년 스마트폰 브랜드 ‘옵티머스’를 선보였습니다. 하지만 애플과 삼성전자 등에 비해 후발주자로 스마트폰 분야에 진출하면서 옵티머스는 결국 실패로 막을 내렸습니다. 심기일전한 LG전자는 ‘G 시리즈’, ‘V 시리즈’를 잇달아 선보이며 반전을 노렸습니다만, 때는 늦었습니다. 2015년 2분기부터 시작한 LG전자 휴대폰 사업 영업손실은 2020년 4분기까지 무려 23분기 이어졌습니다. 누적 적자는 5조원에 달했습니다. 한때 LG전자를 지탱하던 ‘황금알’은 이제 발목을 잡는 ‘계륵’이 됐습니다.
여기에 스마트폰 시장 역시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2018년 14억 3100만대로 정점을 찍은 뒤 2019년 14억 1300만대, 2020년에는 12억 9900만대로 하락했습니다. 2021년 13억 8000만대 반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만, 여전히 2018년과 비교해 줄어든 수치입니다. LG전자 입장에서는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이 계속 커간다면 역전을 노려볼 수도 있겠습니다만, 이제 정점을 찍고 하락하는 시장에서 반전을 기대하는 건 불가능한 일일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LG전자는 한창 떠오르는 자동차 전장(전자장치) 분야를 주목하게 됩니다. 친환경이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내연기관 위주였던 자동차가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등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자율주행차로 진화하게 될 것입니다. 자율주행차는 내연기관차보다 훨씬 더 많은 전자부품이 쓰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례로 내연기관차에 200개 정도 들어가는 반도체는 전기차에 400~500개, 특히 자율주행차에는 1000∼2000개가 필요합니다. 내연기관차와 비교해 자율주행차에 최대 10배까지 반도체가 더 필요한 셈입니다.
카메라모듈, 센서, 연성회로기판 등 다른 전자부품도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자율주행차에 많이 쓰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카메라모듈은 자율주행차에 10개 이상 탑재될 전망입니다. 운전에 집중해야 하는 내연기관차와 비교해 자율주행차는 운전 대신 영상과 게임, 휴식 등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한층 강화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LG전자는 수년전 자동차 전장 관련 부서를 꾸리고 텔레메틱스, 카오디오, 내비게이션 등 자동차 전장을 만들어왔습니다. 심지어 자동차 전장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인수·합병(M&A)에도 나섰는데요. LG전자는 2018년 무려 1조 4000억원을 들여 오스트리아에 본사를 둔 자동차용 헤드램프 업체 ZKW를 인수했습니다. 2021년 7월에는 세계 3위 자동차 부품업체 마그나 인터내셔널과 함께 전기자동차 파워트레인(동력전달장치) 합작법인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을 설립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LG전자는 2021년 9월 이스라엘 사이벨럼 지분 63.9%와 함께 경영권을 확보했는데요. 사이벨럼은 자동차 사이버보안 분야에서 두각을 보이는 업체입니다. 이와 관련, 자동차 산업은 IT(정보기술)와 결합하며 빠르게 변화합니다. 커텍티드카(정보통신 기술과 연결해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차량)가 대세로 떠오른 상황에서 보안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네트워크로 연결한 자동차는 컴퓨터처럼 해킹 위험에 노출돼 있기 때문인데요. 사이벨럼 지분 인수는 자동차 전장사업을 강화하려는 LG전자 입장에서는 자동차 사이버보안까지 신경써야 하기 때문에 내린 결정으로 보여집니다.
결국 LG전자는 누적 적자가 크고 앞으로 성장할 가능성도 낮은 휴대폰 사업을 철수하는 대신, 한창 떠오르는 분야인 자동차 전장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기로 한 것이죠. 이는 2018년에 공식 취임한 ‘40대 젊은 총수’ 구광모 LG그룹 회장의 의중이 담겨 있기도 합니다. 다만 LG전자 자동차 전장사업 역시 휴대폰 사업과 마찬가지로 적자에 머물러 있는데요. 증권가에선 2022년쯤 LG전자 자동차 전장사업이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