産銀 "박삼구 퇴진으론 부족"…아시아나항공의 운명은
by김정남 기자
2019.04.01 06:00:00
채권단·금호아시아나 힘겨루기
자산매각·사재출연·지분매각…
아시아나항공 재무개선안 검토 후
이번주 중 MOU 연장 여부 결정
연장 못해 신용등급 강등되면
차입금 조기지급 ''유동성 위기''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박삼구식(式) 승부수는 통할까. ‘아시아나 쇼크’ 후폭풍을 둘러싼 금호아시아나와 산업은행간 힘겨루기가 한창인 가운데 이번주 중 양측간 재무구조 개선약정(MOU) 연장의 결론이 나온다.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사퇴 카드를 꺼내며 배수의 진을 쳤지만, 산은은 “퇴진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박 회장의 아시아나항공 지분 매각 수준의 강도는 돼야 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우량자산 매각 정도로는 시장 신뢰를 회복하기 쉽지 않다는 판단이 채권단에 깔려 있는 기류다. 만에 하나 아시아나항공이 MOU 연장에 실패할 경우 신용등급 강등 리스크에 처하며 차입금 조기 상환 압박을 받을 수 있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채권은행인 산은은 이번주 중 금호아시아나와 협상을 마무리한 후 MOU 연장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양측이 지난해 4월6일 맺은 재무 개선 MOU의 시효가 1년인데 따른 것이다.
이번 MOU는 워크아웃 혹은 자율협약처럼 법적 테두리에 있지는 않다. 그래서 채권단 회의를 통한 부의·의결 절차도 의무는 아니다. 다만 산은은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금호아시아나 측이 제시한 재무 개선 이행계획안을 내부 검토 후 채권은행들과 회의를 통해 의견을 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산은 한 관계자는 “금명간에 검토 작업이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MOU 연장건은 아시아나항공의 운명과 직결돼 있다. 뚜렷한 자금조달 방안이 없는 와중에 빚 독촉에 시달릴 수 있는 탓이다. 아시아나항공의 최종 감사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은 649%다. 금융기관의 대출회수 기준인 1000%를 넘지는 않았다. 문제는 MOU가 연장되지 않았을 때 신용등급이 강등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현재 ‘BBB-’에서 ‘BB’로 하향 조정되면 차입금 조기지급 사유가 발생한다. 현재 조기지급 조건이 붙은 자금만 장기차입금 2580억원, 자산유동화증권(ABS)1조1417억원으로 추산된다. 당장 유동성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뜻이다. 특히 채권단은 금융기관을 통해 빌린 돈보다 자본시장에서 조달한 자금이 비정상적으로 많다는 판단 하에 이를 줄이라고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이 새로 감사의견을 ‘적정’으로 받았지만 재무구조가 좋아졌다는 의미는 아니다”며 “시장의 의구심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고 했다. 실제 새 감사보고서를 통해 부채가 1400억원 이상(6조9576억→7조979억원) 증가하는 등 드러나지 않은 부실도 발견됐다.
산은의 입장은 비교적 확고하다. ‘대주주의 책임 있는 이행 의지’가 핵심이다. 자산 매각과 사재 출연 등이 당장 거론된다. 아시아나항공 계열사인 아시아나IDT, 아시아나에어포트, 아시아나개발, 에어서울, 에어부산 등의 주식과 부동산 등이 그 대상으로 꼽힌다. 박 회장의 주식을 추가로 담보로 내놓을 가능성도 있다. 박 회장은 금호산업과 아시아나항공 보통주 1만주를 산은에 담보로 제공한 상태다. 금호고속 주식 87만1704주 중 14만8012주도 담보로 잡혀 있다. 또다른 산은 인사는 “서로 이해 가능한 수준에서 협상이 되고 있다”면서도 “다만 양측 회장까지 나와서 상황이 간단하지는 않다”고 했다.일각에서는 박 회장의 주식 매각 가능성까지 나온다. 산은 내부에는 박 회장의 경영능력이 시장 신뢰를 잃었다는 점을 핵심으로 보는 기류가 있다. 사태의 ‘몸통’은 박 회장이라는 것이다. 이동걸 산은 회장은 지난 28일 박 회장과의 면담에서 자진 사퇴와는 별도로 강도 높은 자구안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적항공사의 위기로 경제에 미치는 여파가 큰 만큼 금융당국도 사태를 주시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한 관계자는 “금호아시아나가 내놓을 자구안을 검토해볼 것”이라고 했다.
이에 아시아나 측은 채권단의 대승적인 결단을 바라고 있다. 아시아나공항 한 관계자는 “영업 능력상 현금창출은 꾸준히 할 수 있다”며 “현재 수준의 금융 지원을 하는 MOU만 연장될 경우 스스로 유동성 위기를 넘어설 수 있다”고 했다. 박 회장의 주식 매각은 경영권과 직결되는 민감한 사안인 만큼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다.
금융권에서는 금호아시아나와 산은간 ‘악연’도 새삼 회자되고 있다. 박 회장이 2002년 그룹 회장에 오르며 공격 경영을 한 와중에 인수한 대우건설은 현재 산은의 관리 아래에 있고, 2017년 산은의 금호타이어 매각 과정에서 생긴 양측간 감정의 골도 깊다. 옛 금호생명인 KDB생명도 산은이 떠안고 있다.
|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이 지난 1월31일 여의도 본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