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현아 기자
2014.05.11 09:53:33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정부가 창조경제의 목표로 2017년까지 ‘고용률 70%’을 제시했지만, 지난해 청년고용률은 39.7%로 처음으로 30%대를 기록해 빨간불이 켜졌다.
이런 가운데 ‘디지털 일자리 대연합’을 구축해 국가적 재앙으로 번지는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돼 주목된다.
미래부 산하 기관인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소장 김진형 KAIST교수)는 지난 9일 새누리당 산하 창조경제정책포럼이 주최하고 당 중앙위원회가 주관한 ‘일자리창출, 창조경제의 힘이다’ 토론회에서 디지털 일자리 대연합과 선도사업을 통해 2017년까지 13만 개의 청년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임춘성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직무가 복잡한 소프트웨어는 구인자와 구직자간 역량이 일치하지 않아 미취업 발생률이 높다”면서 “디지털 일자리 대연합의 취지에 공감하는 기업, 기관 등을 발기인으로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디지털 일자리 대연합은 지난해 3월 EU집행위원회에서 조제 마누엘(Jose Manuel Barroso) EU집행위원장이 출범을 공식화하면서 세계 각국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EU 대연합에는 출범초기 15여개 기업과 기관이 서명했으며 온라인 교육 플랫폼 ‘Academy Cube’와 스마트 그리드 에너지 설치·구축인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구체화했다.
우리나라에서 추진되는 디지털 일자리 대연합도 비슷한 모습이다. 기업, 교육기관, 취업기관, 지역사회 등이 대연합을 만들고, SW일자리 메타뱅크와 연결한다. 대연합은 워크넷(고용노동부)이나 잡코리아 같은 취업포털과도 연결된다.
임춘성 연구원은 “네이버가 사내대학인 NEXT를 통해 교육후 현장에 투입하는 것처럼 기업들은 대연합을 통해 맞춤형 인력을 키우고, 청년 구직자들은 가족까지 동원해 왔던 일자리 찾기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디지털 일자리 대연합을 통해 2017년까지 3만 명의 일자리를 만드는 것 외에도 디지털콘텐츠 뱅크 사업 등 선도사업을 통해 10만 개의 신규 일자리를 만든다는 목표다.
관심두는 분야는 △디지털콘텐츠뱅크 생태계 구축사업 △3D프린팅 기반 유연근무제형 생태계 개발 사업△국민중심의 맞춤형 복지 사업 △정보과학 임시교사 사업 △창조경제타운과 재택 앱 개발자를 연계한생태계 등 5가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