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월러 이사 “관세 10%선 봉합시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

by김상윤 기자
2025.05.23 03:27:55

“관세로 인한 인플레 일시적이지만…”
“고율 관세로 복귀시 인플레 압력 커질 것”
장기물금리 상승엔…“기대만큼 재정긴축 없어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는 2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 관세가 10% 수준에서 안정될 경우, 연준이 올해 하반기 중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밝혔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사진=게티이미지)
월러 이사는 이날 폭스비즈니스 방송에 출연해 “만약 관세가 10% 수준에서 봉합되고 7월까지 그 상태가 유지된다면 하반기에는 금리 인하를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 경우 연준은 하반기 내내 금리 인하에 나설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고 밝혔다.

연준은 올해 들어 기준금리를 4.25~4.50% 수준에서 동결하고 있다. 이는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강세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을 고려한 조치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수의 무역 상대국에 대해 기본 10%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일부 중국산 제품에는 30% 이상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최대 50%에 달하는 상호관세는 7월까지 유예된 상태이지만, 만약 10%까지 낮춰지지 않을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이 다시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월러 이사는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일 것으로 본다”면서도, “행정부가 다시 고율 관세로 복귀할 경우, 인플레이션 압력은 훨씬 커지고 연준의 단기 금리 정책에 심각한 제약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날 인터뷰는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 감세 법안’이 하원에서 가까스로 통과된 직후 이뤄졌다. 해당 법안은 1기 당시의 감세 조치를 연장하고, 부채 상한을 늘리는 동시에 재정적자를 확대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미국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20년물 국채 입찰이 저조한 수요를 보이면서 장기물 국채는 매도세가 이어졌다. 이에 따라 30년물 국채 금리는 5%를 넘어 2023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는 또 최근 미 국채 시장에서 장기물 중심의 매도세가 확산되는 것과 관련해 “시장 참여자들이 공화당의 세제 법안에 기대했던 만큼의 재정 긴축이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월러 이사는 최근 국채 금리 급등의 원인에 대해 “금융시장 관계자들로부터 공화당의 감세 법안이 기대했던 만큼의 재정 긴축 효과를 내지 못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시장에서는 보다 강력한 긴축을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