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균의 투자레슨]美돈풀기 나비효과

by송길호 기자
2023.09.14 06:15:00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내년 상반기 정도까지의 시계(視界)에서 글로벌 자산시장의 가장 큰 리스크는 미국과 미국 이외 지역의 불균형이다. 미국 경제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긴축기조에도 불구하고, 매우 강력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은 여러 경제지표들을 통해 계측하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는데, 이들이 추정하고 있는 미국의 3분기 GDP 성장률은 5.6%이다. 작년 3월 이후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이 이어져 왔음을 감안하면 놀라운 성장이 아닐 수 없다.

지난 8월 말 세계 중앙은행가들의 모임인 잭슨홀 컨퍼런스에서 파월 연준 의장은 다음과 같이 밝혔다. ‘(공짜로)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는 없다. 중앙은행은 긴축적 금융환경을 조성해 경제의 수요를 억제함으로써 인플레이션 압박을 약화시킨다. 작년 이후 금리 인상으로 건설투자와 산업생산은 위축되고 있지만, 고용이 아직도 견조하고, 전반적인 성장세도 꺾이지 않고 있다.’ 연준이 2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기준금리를 0~0.25%에서 5.25~5.5%까지 올렸지만 경제 성장세는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고, 이는 추가적인 금리 인상의 가능성을 예비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 파월의 인식이다.

작년 미국의 GDP성장률은 2.1%였고, 2023년 성장률 추정치는 2.0%이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연초 0.5%에서 계속 상향조정돼 2.0%까지 높아졌다. 작년과 올해 모두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1.7% 내외로 추정되고 있는 잠재성장률을 넘어서는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연준의 금리 인상이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

바이든 행정부의 재정지출 확대가 미국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최근 1년(2022년 8월~2023년 7월) 동안 미국의 재정 적자는 2조 2000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미국 명목 GDP 대비 8.3%에 달하는 막대한 규모이다. 경제 운영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민주당의 철학을 고려하더라도 바이든 행정부의 욕심이 지나쳤다고 본다. 정부의 재정지출은 경기 역행적으로 시행돼야 한다. 경기가 나빠 민간의 수요가 약할 때 정부의 지출을 늘려야 하고, 경기가 과열일 때는 긴축적 정책을 써야 한다. 지난 1년 미국 경제는 아주 좋았다. 코로나 팬데믹 국면에서 정부가 직접 쥐여준 현금 지원으로 가계는 막대한 저축을 보유하고 있었고, 실업률은 완전고용 수준까지 하락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의 공격적 재정 지출은 타오르는 불에 기름을 붓고 있는 격이다.

뜨거운 미국 경기는 글로벌 금융환경을 긴축적으로 바꾸고 있다. 최근 미국 금리가 빠르게 상승했다.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연 5%를 넘나들고 있고, 10년물 금리는 2007년 이후 최고치인 4.3%대까지 상승했다. 금리 급등의 주범은 바이든 행정부의 재정지출이다. 재정지출 확대를 통한 성장률 제고는 그 자체가 금리를 끌어올리는 요인이고, 재정적자를 감내하면서 정부가 돈을 쓰려고 하니 막대한 규모의 국채 발행이 필요한데, 이 또한 채권시장의 수급 균형을 깨뜨려 금리를 상승(채권 가격 하락)시키게 된다. 미국 재무부는 2023년 3분기 및 4분기 국채 발행을 각각 1조 70억달러와 8520억달러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2분기 6570억달러보다 훨씬 증가한 금액이다. 걱정스러운 점은 내년 11월 대통령 선거 때까지 민주당의 확장적 재정지출이 지속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분열된 미국의 정치는 견제와 균형보다는 각 정파들의 마이웨이로 귀결되고 있다.



미국 금리 상승은 강달러를 매개로 미국 밖의 국가들을 압박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적성국들이 긴축적 금융환경의 유탄을 맞고 있다. 8월 들어 러시아가 기준 금리를 인상했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금리 인상의 이유로 들었지만, 러시아의 인플레이션은 경기 호전의 산물이라기보다는 루블화 약세의 그림자이다. 자국 통화 가치가 급락하면 수입물가가 높아져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된다. 러시아는 통화가치 방어를 위해 부득이하게 금리를 올렸으니, 강달러의 유탄을 맞았다고 볼 수 있다. 중도 좌파 정권이 집권하고 있는 아르헨티나 역시 같은 이유로 8월에 기준금리를 올렸다. 중국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위안·달러 환율은 9월 들어 7.34위안선까지 상승했는데, 위안화 약세는 달러 표시 부채가 많은 중국 기업들에게 큰 부담이다. 위안화 약세를 고려하면 중국 인민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파격적으로 낮추는 선택을 하기는 어려워진다.최근 부동산 위기와 경기 둔화에 대응하는 인민은행의 금융완화 강도가 시장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것도 위안화 약세와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한국 경제도 미국의 고금리가 지속되면 만만치 않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미국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막바지에 달했다는 관측은 합리적이지만, 미국 경제의 열기가 이어진다면 미국의 금리 인하 시기는 늦춰질 수밖에 없다. 한미 금리가 역전된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경제 펀더멘털만을 고려해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하기는 힘들다.

미국 경기 과열에서 촉발되고 있는 악순환의 고리는 고금리의 부작용이 미국에서도 나타나야 끊길 수 있을 것이다. 미국에서 취약한 분야는 은행이다. 은행업은 단기로 자금을 조달해, 장기로 운용하는 비즈니스다. 요즘처럼 단기 금리가 장기 금리보다 높아진 상황에서는 은행들의 마진이 심각한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 단기금리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을 반영해 결정되고, 인플레이션에 큰 영향을 받는다. 장기금리는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에 대한 기대가 반영돼 결정된다. 장단기 금리 역전은 인플레이션이 생길 정도로 경제가 과열돼 있지만, 지금 경험하고 있는 성장이 지속 가능하지 않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아무튼 미국의 은행들에는 아주 나쁜 환경이 만들어졌고, 최근 신용평가기관들이 미국 은행들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고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또다른 측면에서 불안요인이 될 수밖에 없는 미국 은행위기 정도가 현실화되지 않고서는 달러의 폭주에서 비롯되고 있는 금융환경의 악화를 막기 어렵다는 점은 최근의 글로벌 경제가 직면해 있는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