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순용 기자
2023.02.04 08:36:25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이 가장 걱정하는 질환 1위는 암(13.6%), 그 다음은 관절염(10.2%)이었다. 암은 한번 걸리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치명성’이 위협적이라면 관절염은 누구라도 걸릴 수 있다는 ‘보편성’이 위협적이다.
실제로 질병청 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의 60%가 관절염을 앓고 있다. 연령대가 올라갈 수록 유병률은 더 높아진다. 어르신 세 명중 두 명은 관절염을 앓고 있다는 이야기다.
보편적인 질병이라고 대수롭지 않은 것도 아니다. 기본적으로 엄청난 통증을 동반하는 데다가 심하면 보행에까지 어려움이 생긴다. 일상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질병이라는 의미다. 특히 저녁시간대부터 취침시간대까지 통증이 심해지는데 이 때문에 불면을 호소하는 환자들도 많다.
이와 더불어 사람들은 ‘관절염은 암과는 달리 완치가 불가능하다’고 오해한다는 점도 관절염을 두려워하는 원인이 된다. 관절염은 기본적으로 무릎 연골이 노화되어서 나타나는 질환이다. 손상된 연골의 재생이 어려운 것은 맞다. 하지만 손상된 연골을 그대로 둘 필요도 없다. 인공관절로 치환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만 해도 인공관절 치환술은 매우 위험하며 부작용이 많은 수술이라고 인식되었다. 무릎 관절 전체를 들어내고 새로운 인공관절로 끼우는 이른바‘ 전치환술’은 무릎의 피부와 근육을 15~25㎝ 광범위하게 절개하고, 슬개골(무릎뼈)과 슬개골을 감싸고 있는 십자인대를 제거한 다음 무릎 관절 전체를 깎은 뒤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큰 수술이다. 출혈량만 평균 1500ml에 이른다. 노인이 하기에는 여러모로 부담이 많다.
하지만 최근에는 치료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무릎 관절 전체가 아닌 일부만 인공관절로 교체하는 부분치환술이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연세건우병원 정호원 원장은 “부분치환술을 하면 환자의 피부를 7cm만 절개하면 되는 데다가 입원 기간도 7~10일로 짧다. 거기에 환자의 관절 일부와 인대 등을 살리기 때문에 수술 후 무릎을 완전히 굽힐 수 있을 정도로 관절 기능을 최대한 회복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인공관절술은 그동안 의료계에서 환영받지 못했다. 수술의 난이도가 높아 무릎 절개 부위가 작아 수술 의사가 시야가 좁은 상태에서 인대·힘줄 등을 살리면서 무릎 관절을 깎고, 인공관절을 정확하게 넣기가 쉽지 않았기에 의사에게 부담이 컸다. 그것도 기술과 수술법의 발달로 옛 이야기가 됐다. 정호원 원장은 “최근 5~10년 사이 술기가 발전하고 네비게이션 등 수술 보조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수술 결과가 좋아지고 있지만 경험이 풍부하고 능숙한 의사가 아니라면 여전히 꺼리는 것도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제대로 된 장비를 갖춘 병원에서 경험 많은 의사에게 수술을 받는 게 답이다. 정 원장은 “한번 수술이 20년 이상의 무릎 건강을 좌우하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상담을 통해 제대로 수술할 수 있는 의료진을 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