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불안 틈 타..네이버 클라우드, 공공·금융 공략
by김유성 기자
2018.11.28 05:00:00
토종업체 ''안정성'' 앞세워 도전장
AWS 서비스 장애 사건 기회 삼아 국내 업체 ''장점'' 부각
한국은행 시작으로 금융·공공 분야 클라우드 적극 진출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네이버 클라우드 서비스가 클라우드 업계 지존 아마존웹서비스(AWS)에 도전한다. 자신들이 국내기업이고 직접 운영하는 인터넷데이터센터(IDC)가 한국에 있다는 점을 부각해 공공·금융기관 클라우드 서비스에 진출한다.
AWS가 지난 22일 서비스 장애로 신뢰성에 상처를 입었다는 점도 적극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 국내 공공 클라우드 시장 개방을 요구하는 외산업체들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토종 업체들과 외산 업체들 간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26일 네이버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사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의 한상영 리더(전무)는 NBP가 내년도 네이버가 공공·금융 기관 클라우드 서비스 수주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날(26일) 이데일리에 “공공·금융 분야 시장이 완전히 개방되지 않았지만 공공쪽 부문 상품군을 개발하고 있다”면서 “네이버에 적용된 다양한 기술이나 AI를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서비스로 한 리더가 내세운 강점은 안정성이다. 네이버는 KT와 함께 국내에서 몇 안되는 IDC 운영사다. 본인들이 직접 클라우드 서버를 구축하고 운영한다는 얘기다. 세계최대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사 AWS도 국내 서비스는 임대 IDC를 사용하고 있다.
| 한상영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 클라우드서비스 리더가 1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이데일리 IT컨버전스포럼(ECF) 2018에서 클라우드와 AI 활용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이데일리 DB) |
|
임대 IDC는 직접 구축보다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 언제든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어 사업 철수가 쉽다. 클라우드 업계 관계자는 “서비스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직접 관리 구조가 아니다보니 서비스 장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
실제 AWS는 지난 22일 서울리전 서비스 장애를 일으켰다. 전세계에서 한국에서만 사이트 접속 장애 등이 일어난 것. 쿠팡, 배달의민족을 비롯해 암호화폐 거래소 등은 이날 오전 8시30분부터 1~2시간 가량 서비스 장애를 겪었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서비스 장애에 대한 명확한 소명이 없었다는 점이다. 일각에서는 AWS 등이 한국에서 IDC를 직접 운영했다면 대응과 이후 원인 규명에 있어 더 빨랐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한 리더는 “AWS에 대한 실망감으로 네이버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 또한 높다”면서 “금융·공공기관 클라우드 수주에 더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실제 네이버는 한국은행과 클라우드 계약을 따내는 등 금융·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고객사를 늘리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해 4월부터 클라우드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주타깃은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등이었다. 최근에는 게임 기업들에 대한 서비스도 시작했다. 파파고를 비롯해, 결제·예약 서비스 등 게임 개발 외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클라우드 시장은 AWS가 강자로 군림하고 있다.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애저가 뒤를 따르고 있지만 AWS의 시장 지위는 견고하다.
클라우드 업계 시장 조사기관 ‘클라우드 보안연합( Cloud Security Alliance)’에 따르면 AWS는 전세계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IAAS, 저장공간이나 소프트웨어 구동 공간을 빌려주는 서비스) 플랫폼 시장에서 41.5%의 시장 점유율(애플리케이션 작업량 기준)을 보이고 있다. 그 뒤로 MS, 구글이 뒤따르고 있다. 최근에는 알리바바 등 중국계 업체들의 가파르게 올라오고 있다.
국내 시장도 마찬가지다. AWS에 대한 사용 빈도가 높은 가운데 MS와 구글이 뒤따르고 있다. 이들 기업은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스타트업을 비롯한 IT 업체들을 자사 고객으로 만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클라우드 업계는 정부의 규제 개혁 속도가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공공·금융 기관에 대한 클라우드 규제를 완화하면 AWS 등 해외 기업들의 독과점 상황이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다.
행정안전부는 공공분야 민간 클라우드 도입에 대한 세부안을 검토중이다. 데이터센터 국내 소재 유무, 개인의료정보 규제 등의 기존 정부 규제가 낮아질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민영기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 사무국장은 “다양한 업체들을 시장에 뛰어들게 해 시장은 성장시키되, 국내 업체들도 육성 할 수 있는 투 트랙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