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콘텐츠 수입 역발상으로 '한한령' 풀 수 있다

by김용운 기자
2017.04.06 00:05:00

''한한령의 원인과 대응 정책'' 세미나 열려
''한한령''은 중국과 콘텐츠 역조현상이 배경
김재범 성대 교수 중국 콘텐츠 수입 역발상 제안

5일 국립중앙박물관 세미나실에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과 한국문화경제학회가 주최한 ‘한한령의 원인과 대응 정책’ 세미나 현장(사진=김용운 기자)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중국 CCTV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를 국내 지상파에서 수입해 방영하면 ‘한한령’ 해결의 단초가 될 수도 있다.”

중국의 ‘한한령’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히려 한국이 중국의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역발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재범 성균관대 예술대학 교수는 5일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과 한국문화경제학회가 국립중앙박물관 세미나실에서 주최한 ‘한한령의 원인과 대응 정책’ 세미나에 참석해 “‘한한령’은 한국의 문화콘텐츠에 대해 중국에서의 기획·제작·유통·소비를 제한 또는 금지하는 조치”라며 “한국의 사드배치에 따른 보복조치로 단순하게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지난해 7월 사드 배치가 ‘한한령’의 원인이 되었지만 이전부터 중국 내에서 한류의 일방향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다”며 “한국의 문화콘텐츠가 중국 시장을 잠식하는 것에 대해 중국 정부의 우려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심상민 성신여대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도 “‘한한령’의 배경에는 중국이 콘텐츠 산업의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 숨어있다”며 “이미 2016년 2월 중국 광전총국이 한국 콘텐츠 공동제작 제한 지침을 내릴 때부터 ‘한한령’의 조짐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한한령’의 대응 전략으로 꼽히는 동남아 지역 공략과 유럽 및 북미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해 “중국과의 교역규모로 따졌을 때 중국 시장을 포기하고 다른 곳을 대체 시장으로 삼으려는 것은 좋은 해결책이 아니다”며 “이럴 때일수록 한국과 중국 간의 민간 교류를 계속 확대하고 민간 교류 채널을 활성화하는 우선이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중국의 입장에서는 한국이 콘텐츠를 자국에 수출만 할 뿐 중국의 콘텐츠를 수용하는 것에는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일 수 있다”며 “오히려 중국에서 나오는 다큐멘터리나 드라마 등을 수입해 국내 지상파에서 방영하면서 중국과 상호 문화콘텐츠교류의 물꼬를 트는게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