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끈적한 물가' 확인한 파월·이창용 "금리 내릴 때 아냐" 한목소리
by최정희 기자
2024.04.18 05:00:00
''매파''로 돌아선 파월 "물가, 목표 도달까지 더 오래 걸려"
이창용 "韓 소비자 물가, 목표치 도달 확신 있어야 금리 인하"
목표 도달 자신하고…美 물가 3.7%, 韓 4.7%에 멈춘 금리 인상
고유가·고환율 속 ''가격 인상'' 속출, 물가 '&ap...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한미 중앙은행 수장들이 다시 뛰는 물가 앞에 ‘금리 인하 신중론자’로 바뀌었다. 미국은 견고한 성장세에, 우리나라는 고환율·고유가에 물가상승률이 목표치(2%)에 언제 도달할지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행사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치를 향한다는 확신에 이르기까지 예상보다 더 오랜 기간이 걸릴 것 같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작년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기자회견에서 “언제 완화정책을 시작할지 고민하겠다”고 밝히면서 피봇(Pivot·정책 전환) 시그널을 줬으나 그가 ‘변심’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비슷한 상황이다. 이 총재는 17일 G20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차 방문한 워싱턴DC에서 CNBC와 인터뷰를 갖고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에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어야 금리 인하를 시작할 자신감을 갖게 될 것”이라며 “지금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2월 금통위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피봇 시그널을 보내면 각국이 차별화된 정책이 가능하다”고 밝히면서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뒀다. 한은이 금리 정책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2022년 11월부터 시작한 ‘포워드 가이던스’도 금리 인하에 한 발 다가서는 모습이었다. 총재를 제외한 6명의 금통위원 중 1명이 ‘석 달 후 금리 인하’ 의견을 제시했다.
양국의 중앙은행 수장이 ‘금리 인하’ 시그널을 주는데 신중해진 것은 물가가 목표치로 갈 것이라는 확신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물가상승률이 3월 3.5%로 두 달 연속 확대되고 있다. 넉 달째 예상치를 뛰어넘는 물가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7%로 반년 만에 무려 1.2%포인트 상향 조정했을 정도로 미국은 견고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3월 물가상승률이 3.1%로 두 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신선식품 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 배럴당 90달러를 넘나드는 고유가, 장중 1400원을 찍은 고환율로 수입물가가 전월비 석 달째 오름세다. 글로벌 제조업 경기가 개선되면서 구리, 알루미늄 등 원자재 가격도 오르고 있다. 성장률은 내수는 완만한 회복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수출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호조세다. 이에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2.1%) 상향 조정 가능성을 열어뒀다.
일각에선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물가가 목표치에 도달할 것이라는 확신에 금리 인상을 너무 일찍 멈췄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는 역으로 금리 동결기가 훨씬 더 장기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6일(현지시간) 미 CNBC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
|
연준은 물가상승률이 3.7%였던 작년 8월 이후 금리를 동결했다. 작년 12월과 올 3월 연준이 제시한 물가목표치 도달 시점은 2026년이었다. 그러나 파월 의장이 밝혔듯이 목표치 도달이 늦어질 경우 연준은 금리를 동결할 수밖에 없다. 래리 서머스 전 미 재무장관은 금리 인상까지 주장한다.
우리나라는 연준보다 더 빨리 금리 인상을 멈췄다. 물가상승률이 4.7%였던 2023년 2월부터 15개월째 금리가 동결되고 있다. 올해말이면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에 도달할 것이란 기대가 유지돼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총재는 12일 기자회견에서 “하반기 월평균 물가상승률 2.3%가 될지 말지 살펴봐야 한다”며 “5월 경제전망 때보다 한 달 더 기다린 6월께 하반기 금리 인하 시그널을 줄지 말지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 연말에 물가가 목표치에 도달할 수 있을지 여부가 불확실해진 것이다. 4.10 총선이 끝나면서 가공식품, 생필품, 외식물가 등이 줄줄이 인상되고 있어 근원물가 상승세도 불안해졌다.
이에 따라 연준의 금리 인하 횟수는 연내 1회로 줄어드는 분위기다. 이 총재도 “미국이 올해말에는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연내 2회 이상 금리 인하가 어려울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한은 역시 마찬가지다. 연준보다 이른 금리 인하의 전제조건은 환율 안정이었다. 그러나 연준의 금리 인하 지연에 환율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어 연준과의 통화정책 차별화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이 총재는 “1년반 전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때 만큼의 영향력은 아닐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