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늦춰지는 미국 피벗 시계, 성급한 금리 인하 경계해야

by논설 위원
2024.04.12 05:00:00

미국 경제가 뜨겁다.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CPI)가 1년 전보다 3.5% 올랐다고 미 노동부가 그제(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2월(3.2%)보다 0.3%포인트 높고 시장 예측치(3.4%)와 비교해도 0.1%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지난 1월 3.1%를 기록한 이후 두 달 연속 상승세를 보이며 지난해 9월(3.7%) 이후 6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고용시장도 뜨겁기는 마찬가지다. 미 노동부가 지난 5일 발표한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30만 3000개 증가해 전문가 예상치(21만 4000개)를 크게 웃돌았다.

미국 경제의 인플레 열기가 식지 않으면서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시작을 의미하는 ‘피벗’(통화정책 전환) 시계도 늦춰지고 있다. 연준은 지난해 말 공개한 점도표(기준금리 전망을 점으로 표시한 도표)에서 연내 3회에 걸쳐 총 0.75%포인트의 금리 인하를 예고했다. 이에 따라 연준이 늦어도 6월에는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됐으나 그 가능성이 사라졌다. 첫번째 금리인하 시기가 9월로 늦춰지고 인하 횟수와 폭도 연내 2회, 0.5%포인트로 바뀌고 있다.



미국발 물가 쇼크로 한국경제에도 불똥이 튀고 있다. 연준의 조기 금리인하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달러 초강세의 영향으로 원화 가치가 연일 추락하고 있다. 어제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개장 초 전일 대비 10.1원 오른 1365원까지 치솟으며 2022년 11월 10일(1378.5원) 이후 1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내 소비자물가는 과일값과 국제유가 상승으로 2~3월 두 달 연속 3%대 고공행진 중이다. 환율 급등까지 가세하면 수입물가를 올려 소비자물가 상승을 가속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물가 상황이 예사롭지 않은 만큼 물가안정 의지와 노력에 빈틈이 없어야 한다. 지난달 공개된 2월 한국은행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통화 당국 내부에서 기준금리 조기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이 나온 것은 걱정스런 대목이다. 비록 소수의견이지만 아직 소비 부진을 걱정할 단계가 아니다. 섣불리 기준금리를 내려 그동안 기울여 온 물가안정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드는 우를 범하지 않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