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대상 이 작품]어두운 방 안 불안한 몸짓, 개인주의 사회 소외감 담아내
by윤기백 기자
2024.04.01 06:00:00
-심사위원 리뷰
최진한 안무가 신작 ''어 다크 룸''
다채로운 영상·움직임… 다른 꿈꾸는 인간 그려
단순한 동작 반복 통해 절제된 감정 표현 압권
| ‘어 다크 룸’의 한 장면(사진=한국문화예술위원회) |
|
[장지원 무용평론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우수 신작 발굴 지원사업 ‘2023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 무용 부문에 선정된 ‘어 다크 룸’(2월 2~4일,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은 댄스 프로젝트 ‘딴 딴따 단’(Tan Tanta Dan)을 이끄는 최진한 안무가의 신작이다. 그동안 젠더 등 사회적 이슈를 진지하게 때로는 풍자와 해학으로 다뤄온 최진한은 이 작품에서 도드라진 풍자보다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접근과 표현으로 ‘최진한표’ 구성과 움직임의 새로운 전형을 제시했다.
그의 작품 ‘어 다크 룸’은 커다란 사회 안에서 자기 존재의 분실을 다룬 이야기다. 각자도생(各自圖生)의 개인주의와 자존감 상실의 상태, 관계를 통한 개인의 불안정한 심리에서 오는 소외감 등을 담아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어두운 방 안에서 두 팔을 휘저으며 앞으로 꿈틀거리는 나를 가만히 바라보는 외롭고 소외감을 경험하는 순간을 감정적으로 그리고 움직임으로 표면화했다. 그리고 그 불안하고 불편한 진실에 기반해 자신이 느끼는 개인적 문제를 사회 전체로 확대해 추상적으로 그려냈다. 이 대목에서 최진한은 인간이란 유기적으로 연결된 열린 존재임을 강조하며 이를 해체가 아닌 결합으로 완결시킨다.
| ‘어 다크 룸’의 한 장면(사진=한국문화예술위원회) |
|
이 작품에선 르네 마그리트의 초현실주의와 현대무용계에서 일찍이 초현실주의를 구현한 얼윈 니콜라이의 이미지를 엿볼 수 있다. 구체적인 서사가 아니라 흰 무대 위에 다채롭게 담아낸 사물의 영상과 독특한 신체 움직임이 ‘어두운 방’에서 각자 다른 꿈을 꾸는 인간의 모습을 회화적 구성으로 그려냈다. 크지 않은 소극장이 지닌 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어 관객들을 이색적인 세계로 이끄는 노련함도 돋보인다.
7명 무용수는 온통 백색의 심플한 무대 위에 온몸에 화려한 색상의 바디 페인팅을 한 듯한 의상을 입고 한 덩어리처럼 뒤엉켜 군집해 있다. 그들은 점차 범위를 넓혀가며 바닥에서 낮게 움직인다. 이때 벽면을 흐르는 테이프와 운동화, 큐브 그리고 꽃과 손 등 이미지 영상은 일상적인 사물이지만 낯설게 느껴지는 이색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무용수들은 개인을 파악할 수 없는 익명의 존재들을 상징한다. 서로 다른 듯 같고 같은 듯 다른데, 그 이유는 사회 속의 개인이거나 아니면 한 개인의 분열된 자아이기 때문이다.
| ‘어 다크 룸’의 한 장면(사진=한국문화예술위원회) |
|
압권은 절제되면서도 미묘한 감정의 기류가 전달되는 단순히 앞뒤로 흔들리는 움직임의 반복이다. 음악의 규칙적 흐름에 따라 반응하며 테크닉이나 특별한 기량의 과시도 아닌 이 동작이 전체를 대변하고 있다. 동작의 반복은 작품의 주제를 강화하는 동시에, 서로 간에 밀착 없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흔들리는 모습에서 불안정한 관계와 고립의 감정을 전달한다.
후반부 파도치듯 일렁이는 영상에 비닐 의상을 입고 가면을 쓴 무용수들이 초반 영상에 비친 물건들을 실제로 들고 나와 양옆으로 반만 움직이며 고개를 돌리는 움직임을 반복하는 장면은 또 다른 발전된 관계성을 암시한다. 결론적으로 ‘어 다크 룸’은 개념도 중요하지만, 집요하게 자신이 추구하는 바를 파고드는 움직임과 감각적인 연출이 성공의 열쇠라고 할 수 있다. 어둠 속에 만들어진 몽환적인 공간 안에서 초현실적으로 인간의 시간과 관계의 틈새를 넘나드는 색다른 경험을 선사한 최진한의 수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