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만큼 수사기관도 진화"…범죄 예방 지원 나선 AI스타트업계
by김세연 기자
2024.12.23 05:50:00
인터폴, 경찰청 등 범죄 예방에 AI 기술 적극 도입
딥페이크·다크웹 분석 등에 AI스타트업와 협업
가치 판단 불필요한 과학적 영역은 수사에도 AI 활용 움직임
“AI 기술 확대 위해선 법적 기준 필요해”
[이데일리 김세연 기자] ‘실종된 자녀, 도망간 범죄자, 길을 잃은 치매 노인.’
찾고 싶은 사람의 인상착의만 입력해도 그 사람을 비추는 CC(폐쇄회로)TV 화면을 불과 몇 초만에 찾을 수 있다. ‘파란색 후드티를 입은 남자가 넘어지는 모습’이라고 입력하면 방대한 양의 영상 중 파란색 후드티를 입은 남성이 비틀거리다 넘어지는 약 10초 분량의 영상이 추출됐다. 영상 이해 초거대 인공지능(AI) 개발 기업 트웰브랩스의 ‘마렝고’ 기술이다.
AI 적용범위가 지속 확대하는 가운데 AI 스타트업 기술이 범죄예방에도 적극 활용되고 있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딥페이크 악용 사례부터 AI 기술로 목소리를 변조한 보이스피싱, 가상자산 활용 범죄 등 디지털 범죄가 횡행하면서 트웰브랩스 기술처럼 범죄 예방에 도움을 주는 AI 기술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AI 스타트업 ‘S2W’는 AI기반 다크웹 데이터 분석 기술로 이미 국제형사경찰기구(인터폴)의 사이버 수사에 협조 중이다.
지난 2021년에는 사이버 범죄 조직의 비트코인 자금 흐름과 그들의 주 활동 무대인 다크웹(특정 소프트웨어로만 접속이 가능해 추적이 어려운 웹사이트)을 분석해 조직 검거에 일조했다. 이들은 기업 관리자 계정을 탈취하고 내부 서버를 암호화시킨 후 거액의 가상자산을 요구하는 조직으로 정보기술(IT)이 발전함에 따라 등장한 사이버 범죄 조직이었다.
국내 수사기관도 예방적 차원의 AI 활용 움직임이 활발하다.
화자인식 AI로 유명한 셀바스AI는 AI 음성인식 피해조사 시스템을 위해 경찰청과 5년째 협업 중이다. 서울 중부경찰서에서는 통화 중 특정 단어를 말하면 자동으로 112에 연계해주는 AI 전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IT 기업과 함께 개발에 착수했다.
과학적인 부분에 한해서는 범죄 ‘수사’에도 AI 기술 도입 움직임이 일고 있다.
가상 인간 영상을 만드는 스타트업 딥브레인AI는 경찰청과 협력해 최근 딥페이크 자동 탐지 솔루션을 공개했다.
정완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딥페이크 탐지 기술처럼 과학적 검증만 되면 범죄자도 인정 가능한 기술은 수사에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가치 판단이 들어가지 않는 영역에서는 AI 기술을 수사에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AI 기술이 수사 기법으로 확대되려면 법적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게 우선이라고 입을 모은다. 범죄 예방 측면에서는 현재 AI 활용이 확대되고 있지만 법률적 기준이 없다보니 수사 기법으로 활용하기엔 어렵다는 게 이들 의견이다.
김도우 경남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거짓말 탐지기도 신뢰도가 높지만 보조적 역할의 참고 자료로만 쓰인다”고 말했다.
정 교수도 “전문가나 실무자들 사이에서 특정 사건에 어떤 법령을 적용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AI 등을 도입하면 좋겠다는 얘기가 나온다”며 “AI 기술을 도입하고 수사의 근거로 삼으려면 법률적 뒷받침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법률적 근거가 없으면 AI 기술은 보조적 수단에 그칠 거고 예산 확보 측면에서도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