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주→성장주’ 순환매…코스닥 레버리지 ETF 수익률 ‘들썩’[펀드와치]

by이용성 기자
2024.02.18 09:08:21

코스닥 강세…레버리지 ETF 수익률↑
성장주 중심 코스닥으로 자금 이동
"가치주 위주 상승세가 순환매 들어서"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성장주 중심의 코스닥이 한 주간 강세를 보이면서 코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의 수익률도 치솟았다. 특히 코스닥이 횡보 구간 없이 연일 오름세를 나타내면서 일별 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며 수익을 극대화한 펀드들이 수익률 상위권을 휩쓸었다.

(사진=KG제로인)
18일 펀드평가사 KG제로인에 따르면 순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국내 주식형 펀드 중 최근 일주일(2월 9일~15일)기준 KB자산운용의 ‘KBSTAR코스닥150선물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가 6.94%의 수익률로 가장 높은 수익을 거둔 것으로 집계됐다. ‘KBSTAR코스닥150선물레버리지’는 코스닥150선물지수를 기초 지수로 일간 변동률의 2배수로 연동한다.

이어 삼성자산운용의 ‘KODEX코스닥150 레버리지’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코스닥150 레버리지’ ETF가 수익률 각각 6.82%를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NH-아문디(Amundi)자산운용의 ‘NH-Amundi코스닥2배 레버리지’와 한국투자신탁운용의 ‘한국투자코스닥 두배로’ 펀드도 각각 6.76%, 6.75%의 수익률을 거둬 순위권에 올랐다.

코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가 주간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것은 저 주가순자산비율(PBR) 중심의 가치주에서 기술 성장주로 순환매가 이뤄졌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해당 기간 코스피는 0.25% 하락한 반면, 코스닥은 3.95% 상승했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수혜주의 하락 △미국의 빅테크 호조 △4분기 실적발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성장주로 자금이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3주가량 전개됐던 가치주 위주 상승세가 순환매에 들어섰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 수익률은 0.38%를 기록했다. 국내 증시에서 코스피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2.9% 상승할 것이라는 예상치를 깨고, 이를 상회하는 3.1%의 상승을 보이며 하락했다. 그러나 외국인 매수세의 유입이 지수 하단을 지지하며 소폭 하락에 그쳤다. 반면, 코스닥은 인공지능(AI) 관련주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며 크게 상승했다.



해외 주식형 펀드의 주간 수익률은 0.91%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일본의 수익률이 3.28%로 가장 높았다. 섹터별로는 정보기술섹터가 1.71%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개별 상품 중에선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가 8.24%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한 주간 글로벌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S&P 500은 CPI 예상치 상회에 충격을 받고 조정이 들어갔지만, 바로 반등에 성공하며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AI 관련주는 여전히 강세를 보였고, 테슬라 역시 반등했다. 닛케이(NIKKEI)225는 도쿄 일렉트론 등 반도체 종목이 강세를 보이며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다. 유로스톡스(EURO STOXX)50은 영국의 4분기 GDP가 예상치를 하회했으나 일부 기업의 호실적 발표로 상승했다. 상해종합지수는 중국 춘절 연휴로 휴장했다.

국내 채권금리도 한 주간 상승세를 탔다. 국내 채권금리는 설 연휴 대외 금리 상승의 영향과 함께 외국인 순매도의 영향이 더해지며 상승했다. 미국 CPI 예상치 상회의 여파가 우리 국고채 금리의 상승에도 영향을 끼쳤다. 호주 중앙은행은 물가가 여전히 높다며 금리 인하를 조기에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하여 채권 약세는 계속되고 있는 모습이다.

자금 흐름을 살펴보면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1211억원 감소한 20조1938억원으로 집계됐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509억원 증가한 21조3502억원, 머니마켓펀드(MMF)의 설정액은 3조7759억원 감소한 169조1873억원으로 집계됐다.